
대한적십자사가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논의하기 위해 북한에 적십자회담을 공식 제의했다. 김선향 대한적십자사(한적) 회장 직무대행은 17일 서울 중구 남산동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 등 인도적 현안을 해결을 위한 남북적십자회담을 8월 1일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가질 것을 제의한다”고 밝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함부르크 G20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독일에서 ‘베를린 구상’을 밝히고 10·4 정상선언 10주년이자 추석인 올해 10월 4일에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성묘 방문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한적의 회담 제의는 문 대통령 제안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다.
북한이 적십자회담에 긍정적으로 호응할지는 불투명하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탈북한 여종업원 12명과 탈북 후 남한에 정착했다가 북송을 요구하고 있는 김련희씨의 송환이 없으면 이산가족 상봉도 없다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제의는 그 자체로도 이산가족들을 다시 설레게 하기에 충분했다. 제안대로 10월 4일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다면 2015년 10월 이후 무려 2년 만이다. 만남의 길이 막혀 있는 동안 대부분 고령인 이산가족은 빠른 속도로 줄어 왔다.
지금까지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해 통일부에 등록된 남측 이산가족은 13만1200명이다. 이 중 절반이 넘는 7만249명이 세상을 떠났다. 6월 30일 기준 6만513명이 남아 있다. 한 달 전인 5월 31일에 비해 233명이 줄어든 수치다. 이는 신규 신청자가 포함된 수치다. 실제로는 6월 한 달 동안 상봉을 기다리던 이산가족 258명이 사망했다.
신규 신청자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지만 사망자 증가 속도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다. 정권이 바뀐 뒤인 6월 25명이 새로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했다. 문재인정부의 대북 대화 방침에 기대를 건 이들로 보인다. 4월과 5월의 신규 신청자는 각각 2명과 1명뿐이었다.

이산가족 생존자 상당수는 80세 이상의 초고령층이다. 현재 62.6%가 80세를 넘겼다. 이산가족 상봉을 기대할 수 있는 사람이 앞으로 더 빠르게 줄어들 것임을 말해준다.
이산가족 상봉 대상은 고령자와 직계가족을 우선순위로 선발한다. 김선향 직무대행은 “현재 우리 측에는 많은 고령의 이산가족이 상봉을 고대하고 있으며, 북측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일 것”이라면서 “이분들이 살아 계신 동안에 가족을 만나게 하는 것은 어떤 정치적 고려보다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 분들 다 세상떠나기 전에 친인들을 한번이라도 만나게 허용해야 한다!
인간이 맞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