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2.5단계로 격상된 첫날인 8일 서울역에서 방역복을 입은 외국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한국의 외국인실업자수가 력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신문이 21일 한국 통계청의 ‘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인용하여 따르면 외국인 실업자수는 지난 5월 기준 7만명으로 2012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였다. 전년 대비로는 1만 9,000명(38.2%) 늘어 2013년 증감 비교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외국인실업률은 7.6%로 전년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코로나19는 한 조선족 녀성의 코리안 드림에도 그늘을 드리웠다. 한국으로 귀화해 1년 반전 종각 거리에
마라탕 가게를 열었다는 이 사장은 “하루하루가 고통스럽다”라고 털어놨다.
한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000명이 넘었을 때는 우울감에 문을 여는 것을 포기하고 가게로 오던 도중 다시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정부 대출도 이미 한차례 받은 상황에서 이번 겨울을 어떻게 버틸지 그는 잠을 이루지 못한다. 그는 “적지 않은 돈을 들여 어렵게 문을 연 가게인데 포기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그저 시기가 좋지 않았다고 스스로를 위로하기엔 너무 속상하다”라고 말했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변색된 방진마스크와 방한마스크를 착용한 채 일하고 있다.
외국인취업자수는 84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 5,000명 감소했다. 조선족 취업자수가 3만 2,000명 감소(-9.0%)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기타 아시아에서도 4,000명(-1.1%)의 취업자가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전체 취업자수가 줄어든 여파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외국인 상주인구중 30%를 차지하고 고용률도 높은 방문취업자가 4만명, 비전문취업자가 9,000명 감소한 것이 한가지 원인”이라며 “코로나19로 외국인취업자가 많은 숙박·음식업과 건설업 취업자 감소가 지속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취업자가 5,000명(9.2%), 전기·운수·통신·금융 취업자가 5,000명(37.1%) 늘었으나 광·제조업 취업자가 2만명(-5.0%), 건설업취업자가 1만명(-10.0%) 줄었다.
전체 상주 외국인수는 전년 대비 9,000명(0.7%) 증가한 133만 2,000명으로 집계됐다. 조선족은 1만 6,000명(-3.2%), 중국인(조선족 제외)은 9,000명(-6.3%) 줄어든 반면 아시아 이외에서 1만 7,000명(14.5%), 기타 아시아에서 1만 1,000명(2.8%) 늘었다. 외국인 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대비 4,000명(0.4%) 증가한 91만 7,000명이였다.
/조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