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면 협력 사례 쏟아져

지난 1일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박람회에서 케니아관 관장 황자남이 아프리카산 생화를 정리하고 있다. /신화사
호남성 장사시에서 열린 ‘제3회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박람회가 2일 페막했다. 이번 박람회에는 아프리카 29개국의 1천 600종에 가까운 상품이 전시됐다. 이는 전회보다 166% 증가한 수치다. 참가 기업도 전회보다 70% 늘어난 천 500곳에 달했다. 프로젝트 계약 체결 금액은 103억딸라로 집계됐다.
◇더욱 활발해진 농업 거래
농업은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 협력의 중점 분야이다. 상무부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이 발표한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 관계 보고 2023〉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아프리카 농산물의 대 중국 수출 증가률은 평균 11.4%에 달했다. 중국은 아프리카 농산물 수출의 제2대 목적지 국가가 됐다.
중국은 그동안 아프리카 수입 농산물의 검역․통관 속도를 높이기 위해 ‘록색통로’ 확대에 주력했다. ▷케니아 아보카도 ▷에티오피아 커피 ▷탄자니아 참깨 ▷세네갈 땅콩 등 갈수록 많은 아프리카 농산물이 점점 더 많이 중국 시장에 들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소비자의 선택 폭이 넓어졌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각국에게 실질적 경제 리익도 가져다주었다.
이번 박람회는 또 신업종이 중국—아프리카 농업 협력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주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대사 사승문은 “라이브 커머스(直播带货)를 비롯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중국 소비자가 아프리카의 우수한 상품을 직접 보고고 실시간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계 시장 개척에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량국이 디지털경제․전자상거래 등 령역에서 협력을 강화해 인터넷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 등 방식을 통한 우수 상품 거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록색장성’ 프로젝트로 지속 가능 발전 도모
지난달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남쪽에 린접한 국가의 전문가들이 타클라마간사막에서 중국의 황사․사막화 방지 기술을 참관했다. 이처럼 중국은 아프리카의 ‘록색장성’(绿色长城) 계획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중국과 아프리카 각국은 이번 박람회에서 처음 열린 중국—아프리카의 ‘일대일로’ 공동건설 성과전을 통해 록색발전 협력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했다.
잠비아 도시개발부 부장 찰스 밀루피은 “우리는 수력․풍력․태양광․지열 등 국내 재생 가능한 에너지 개발 및 리용을 포함한 청정에너지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며 “잠비아는 지속 가능한 록색 인프라 설비와 에너지에 적극 투자하기 위해 관련 정책과 법률을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 협력으로 새로운 기회 모색
6월 25일, 애급은 중국이 지원한 미스르샛—2호 프로토 타입 위성을 인도받으면서 아프리카 최초 위성체 조립 및 시험 능력을 갖춘 나라가 됐다.
이 밖에도 ▷화위와 우간다 기업이 캄팔라에서 공동 건설하는 우간다 최초 5G 디지털 시멘트공장 프로젝트 ▷보쯔와나와 중국 기업이 함께 추진하는 스마트 다이아몬드 광산 프로젝트 ▷꽁고 수도 브라자빌에서 문을 연 중국 열대농업과학원의 첫번째 해외 과학기술쎈터 등 중국과 아프리카의 과학기술 협력 사례는 수없이 많다.
아프리카련맹 통상·산업 집행위원 알버트 무찬가는 국가품질지수는 지적재산권의 ▷보호 ▷혁신 ▷품질 ▷보안 등의 기본 조건으로서 아프리카 대륙의 자유무역구 건설, 기술적 무역 장벽 축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아프리카련맹 회원국은 중국과 기술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신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