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한민족 > 한민족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칭다오한국총영사관 조선족대학생에 장학금 전달

[흑룡강신문] | 발행시간: 2015.07.10일 09:12
(흑룡강신문=칭다오) 박영만 기자= 한국 재외동포재단이 해마다 진행해오고 있는 재외동포 차세대 우수인재 육성의 일환으로 되는 장학금 전달식이 7월 7일 주칭다오대한민국총영사관에서 진행되었다.

  장학생은 중국 내 우수대학에 재학중인 조선족대학생들이 그 대상자이며 성적우수자로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교내외 수상경력 다수자 및 능력우수자, 유공동포 후손 등 기준에 의해 선발된 것이다.



  금년도에 칭다오영사관에서는 칭다오대학, 중국해양대학 등에서 총 11명의 조선족 대학생을 장학생으로 선발하였다.

  칭다오한국총영사관 5층 회의실에서 우인식 동포.교육담당 영사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 이수존 총영사와 허승재 부총영사가 참석했다. 이수존 총영사가 매 수혜자들에게 장학증서를 일일이 전달해주었다. 그는 오늘 장학금을 전달받은 조선족대학생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한중 양국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당부했다.

  칭다오대학교 3학년생인 이군 학생은 장학생들을 대표하여 한 답사에서 앞으로 졸업후 중국과 한국을 연결할 수 있는 업종을 선택하여 자신의 저그마한 힘이나마 이바지하겠다고 표시했다.

  장학금 총액은 매인당 1200달러로 금번에는 상반기 장학금이 전달되었고 하반기 전달식은 9월중에 시행될 예정이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50%
30대 0%
40대 5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호주 출신 방송인 샘 해밍턴이 자녀들 교육관을 솔직하게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좋댓구요 스튜디오' 에서는 '한국인의 밥상머리 EP.7' 편이 새롭게 업로드됐다. 이날 게스트로 출연한 이는 샘 해밍턴이었다. 샘 해밍턴은 '방학 때 애들이랑 뭐 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제7회 연변교사시조문학상 시상식 도문서

제7회 연변교사시조문학상 시상식 도문서

시조 〈매돌〉로 금상을 수상한 김설연(가운데) 교원. 연변교사시조문학회의 주최로 해마다 한번씩 진행되는 연변교사시조문학상 시상식이 7회째 이어지면서 6월 8일 오전 도문시 금강산식당에서 제7회 시상식이 개최되였다. 연변교사시조문학회 허송절 회장은 개회사

"어디서 봤나 했더니" 유명 아이돌 출신, '스콘 맛집' 사장님 근황 깜짝

"어디서 봤나 했더니" 유명 아이돌 출신, '스콘 맛집' 사장님 근황 깜짝

사진=나남뉴스 2005년 엠넷 '배틀 신화' 오디션을 통해 데뷔한 아이돌 '배틀'의 멤버 휘찬이 스콘 맛집 사장님으로 변신한 근황이 공개돼 이목을 끌고 있다. '배틀'은 특이한 오디션 프로그램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당대 최고 아이돌 신화를 잇는 차세대 그룹을 육성

"손목 절단할 뻔" 노유민 아내, 기절→아찔한 옥상 사고 '또' 인스타 올려

"손목 절단할 뻔" 노유민 아내, 기절→아찔한 옥상 사고 '또' 인스타 올려

사진=나남뉴스 그룹 NRG 출신 노유민의 아내가 이번에는 남편이 손목을 절단할 뻔했다며 아찔했던 순간을 영상으로 올려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노유민의 아내 이명천 씨는 부부가 함께 운영하는 카페 공식 인스타그램에 한 편의 충격적인 영상을 올렸다. 영상 속에는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