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세계 각국 열병식에서 가장 정채로운 순간

[중국조선어방송넷] | 발행시간: 2015.09.02일 06:36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쑈전쟁 승리 70주년을 기념하여 9월 3일 진행될 예정인 열병식에는 17개국이 참가하게 된다. 열병식은 그 나라의 무장력량 검열식으로 군인들의 정신면모와 더불어 그 나라의 특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세계 각국에서 펼쳐진 정채로운 열병식을 돌이켜본다. 사진은 7월 14일 프랑스 빠리에서 프랑스 전투기가 프랑스 국경절 열병식날 빠리 상공을 지나가고있는 장면이다.



2010년 10월 10일, 조선 수도 평양에서 진행된 조선로동당 창립 65주년 열병식에서



2009년 1월 26일, 인디아 수도 뉴델리에서 인디아 모터찌클공연팀이 열병식에서 특기를 보여주고있다.



2015년 6월 1일 케니아 병사들이 자치절 열병식에 참가하고있다.



2010년 9월 7일 브라질 수도에서 독립일 열병식이 열렸다.




2015년 3월 18일 토이기의 특기비행팀이 100주년 기념행사에서 하늘에 채색띠를 수놓았다.



2012년 7월 14일 프랑스 수도 빠리에서 진행된 국경절 열병식



2015년 3월 23일, 파키스탄수도 이스땀불에서 진행된 국경절 열병식 공연.



2015년 5월 9일 로씨야 수도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에서 진행된 열병식



편집:심영화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10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6월 21일, '연변대학 박걸교육발전기금 기부 및 2024년도 장학금 전달의식'이 연변대학 종합청사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행사는 연변대학 부교장 장학무의 진행으로 거행된 가운데 커시안그룹 회장 박걸과 부회장 안창호, 생산운영부총재 최명학과 연변대학 당위서기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마음 많이 다쳤다" 강형욱, 직접 전한 심경 들어보니...

"마음 많이 다쳤다" 강형욱, 직접 전한 심경 들어보니...

동물훈련사 강형욱이 퇴사했던 직원들과 마찰이 있었던 것과 관련해 직접 자신의 SNS에 장문의 심경글을 남겨 화제다. 지난 26일, 강형욱은 자신의 SNS에 긴 글을 남겼다. 그는 "지난 한달여간 많은 일을 겪으며 제 삶을 깊이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며 입을 열었다.

"황재균 이혼했대" 야구 중계 중 뜬금발언, 지연 '사실무근'

"황재균 이혼했대" 야구 중계 중 뜬금발언, 지연 '사실무근'

걸그룹 티아라 출신 '지연'과 프로야구 선수 황재균의 이혼설이 제기됐지만 지연이 '사실무근' 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헤프닝으로 끝났다. 두 사람의 이혼설은 지난 25일 저녁 부산, 경남권 KNN 야구 경기 중계중에 벌어졌다. 이날 중계진은 경기를 중계하던 중 황재균

"우월한 유전자만 쏙쏙" 송일국, 삼둥이 대한·민국·만세 '유퀴즈' 근황 깜짝

"우월한 유전자만 쏙쏙" 송일국, 삼둥이 대한·민국·만세 '유퀴즈' 근황 깜짝

사진=나남뉴스 배우 송일국의 삼둥이 아들 대한, 민국, 만세 군이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며 오랜만에 브라운관 나들이에 나선다. 이날 26일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공식 인스타그램에는 송일국과 삼둥이 모습이 담긴 짧은 영상 한 편이 올라왔다. 제작진은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