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중국 '두 자녀' 정책 도입했지만…양육비 부담에 인식전환 힘들 듯

[기타] | 발행시간: 2015.12.13일 05:01

【서울=뉴시스】류난영 기자 = 중국이 지난 35년간 유지해 오던 '한 자녀 정책'을 폐지하고 '두 자녀' 출산을 허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두 자녀를 출산 하기를 원하는 중국인들은 많지 않아, 두 자녀 정책 도입으로 인한 정책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지난 1980년 지나치게 빠른 인구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산아제한정책(計劃生育)을 도입해 한 명만 낳도록 했다. 이를 어기다 적발될 경우 무거운 벌금을 내야 했다.

이 같은 정책은 인구 성장을 완화하는 데는 어느 정도 기여했다. 중국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중국의 합계 출산률은 2014년 기준 1.43명이다. 이는 국제적 저출산 기준인 1.3명에 근접한 수치다. 중국은 1995년부터 합계 출산률이 저출산 기준과 가까워 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적지 않은 문제점도 양성했다. 전통적인 남아선호사상 때문에 여아를 낳으면 낙태를 하는 등 심각한 '남녀 출생 성비' 불균형을 가져왔다.

또 둘째를 낳으면 물게되는 막대한 벌금을 내지 않기 위해 후커우(戶口·주민등록)에 올리지 않는 경우가 늘면서 신분증이 없는 '헤이하이즈(黑孩子)'가 생겨났다. 이들은 학교에 갈 수도 없고, 아파도 병원에 갈 수 없는 등 기본적인 권리 조차 누릴 수 없다. 성인이 되도 취업을 할 수 없어 거리를 전전하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 같은 헤이하이즈는 중국 전역에 65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이 한 자녀 정책을 실시한 이후 '샤오황디(小皇帝)' 문제도 생겨났다. 샤오황디는 소황제라는 뜻으로 마치 황제처럼 온 집안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외동 자녀를 뜻한다. 이들은 매사를 부모에게 의존하거나 정신력이 허약해 중국의 사회 이슈로 대두됐다.

중국이 35년 동안 고수해온 한 자녀 정책을 폐기한 것은 저출산에 따른 급속한 노령화와 노동력 부족 때문이다.

중국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중국의 노동인구는 2012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2014년부터 345만명 감소했으며 2023년 이후에는 매년 평균 8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 현재 중국 전체 인구의 30%가 50세 이상으로 오는 2030년께 60세 이상 인구가 4억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정부의 '두 자녀 정책' 도입 결정에도 중국인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매일경제신문(每日经济新闻)이 최근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둘째를 낳고 싶다'는 응답은 30%에 불과했다.

이 처럼 두 자녀 출산을 꺼리는 것은 막대한 양육비에 대한 부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양육비 문턱에 가임연령의 부부들이 둘째를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칭녠바오(靑年報)는 10일 '두 자녀 정책'이 정착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 봤다. 신문은 이에 대한 이유로 ▲두 자녀를 출산했을 때 드는 막대한 양육비 ▲오랫동안 정착돼 온 '한 자녀' 정책에 대한 인식 변화의 어려움 등을 꼽았다.

신문은 논평에서 "한 자녀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는 중국인들은 '자녀가 많을 수록 복도 많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며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한 자녀 정책'이 고착되면서 가임연령의 부부들이 한 자녀 가정에 더 익숙해졌다"고 설명했다.

you@newsis.com

뉴시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2%
10대 0%
20대 4%
30대 16%
40대 32%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48%
10대 0%
20대 20%
30대 12%
40대 12%
50대 0%
60대 0%
70대 4%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상민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전혀 알지 못했던 친동생의 존재를 알게 돼 충격을 받았다. 이날 16일 방송하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는 모친상 후 오랜만에 외가 친척들을 만나는 이상민의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이상민은 그동안 친척들과 왕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신혼집 월세 1000만원" 손담비♥이규혁, 결혼 3년차 부부 '남다른 고민'

"신혼집 월세 1000만원" 손담비♥이규혁, 결혼 3년차 부부 '남다른 고민'

사진=나남뉴스 가수 손담비가 스피드스케이팅 감독 이규혁과의 이태원 신혼집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최근 유튜브 채널 '소비요정의 도시탐구'에는 가수 손담비가 출연해 용산구에 위치한 신혼집을 공개했다. 영상 속 손담비는 어느덧 결혼 3년 차가 된 이규혁과의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사진=나남뉴스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이 자신도 모르는 아들 소식을 전한 가짜뉴스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지난 15일 다니엘 린데만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짜뉴스 캡처 사진을 올리며 이를 해명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해당 사진에는 다니엘 린데만의 2세 소식이 마치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6월 15일 19시 30분, 연길시 부르하통하 음악분수 ‘물춤쇼’가 열렸다. 음악분수는 연길시 연길대교와 연서교 사이의 부르하통하 강면에 위치해 있으며 총길이는 158메터이고 너비가 12메터로서 최고 100메터의 물기둥을 분사할 수 있으며 또 음악공연과 함께 ‘룡행천하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