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경제 > 경제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中 관광객, 2020년 한국에서 쇼핑으로만 30조원 쓴다"

[온바오] | 발행시간: 2014.08.20일 16:56

▲ [자료사진] 한국 면세점에 쇼핑하고 나오는 중국 관광객들

오는 2020년,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의 쇼핑 규모가 30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국내 언론은 하나대투증권의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여행객은 앞으로 연평균 19.8% 증가해 오는 2020년에는 지난해의 약 3.5배인 1천488만명에 이를 것"이라며 "중국 관광객이 급증함에 따라 이들의 한국 쇼핑 금액(교통비·숙박비·식비 등 제외)도 지난해 6조1천53억원에서 2020년 약 30조5천390억원으로 5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같은 규모는 2020년 국내 소매시장 규모 전망치인 398조3천20억원의 7.7% 가량으로 지난해 국내 소매시장에서 차지한 비중인 1.9%와 비교하면 중국 관광객에 대한 의존도가 3배 이상 커지는 셈이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로 중국 관광객의 국내 쇼핑 금액 증가율은 지난 2010년 30.1%, 2011년 44.9%, 2012년 44.6%, 2013년 52.5%로 지난 몇 년간 갈수록 가팔라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보고서는 이같은 증가율이 올해 30.6%에서 차츰 둔화해 2020년에는 18.5%까지 떨어질 것이라 예상했다.

또한 중국 관광객의 쇼핑은 특히 면세점과 화장품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관광객이 국내 면세점에서 소비하는 금액은 지난해 1조9천70억원에서 2020년에 9조2천170억원으로 늘어나고 매출 비중도 지난해 29.8%에서 2020년 66.8%로 증가할 전망이다.

화장품 쇼핑 규모도 지난해 1조8천450억원에서 2020년 5조1천860억원까지 증가해 중국 관광객의 매출 비중이 지난해 18.2%에서 2020년 30.1%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외국인 카지노 시장에서 중국 고객의 매출 비중 또한 지난해 43.2%에서 2020년 67.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나대투증권 관계자는 "국내 소비·유통 시장의 규모를 키우는 가장 중요한 수요는 중국인"이라며 "소비·유통 관련 전 업종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최고의 압도적인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온바오 한태민]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60%
10대 0%
20대 10%
30대 40%
40대 1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40%
10대 0%
20대 30%
30대 1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6월 21일, '연변대학 박걸교육발전기금 기부 및 2024년도 장학금 전달의식'이 연변대학 종합청사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행사는 연변대학 부교장 장학무의 진행으로 거행된 가운데 커시안그룹 회장 박걸과 부회장 안창호, 생산운영부총재 최명학과 연변대학 당위서기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마사지에 전문 영양사까지... 치치할에선 '소'팔자가 상팔자?

마사지에 전문 영양사까지... 치치할에선 '소'팔자가 상팔자?

흑룡강성 치치할시 감남현 환희(歡喜)가축시장을 찾은 구매자가 지난달 22일 거래를 마친 송아지 한 마리를 트럭에 싣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매주 월∙수∙금 오전 8시 30분 중국 각지에서 온 농민과 상인들이 흑룡강성 치치할시 감남현 환희(歡喜)가축시장으로 몰려

할빈공업대학, AI학원 설립... '복합형 인재' 육성에 박차

할빈공업대학, AI학원 설립... '복합형 인재' 육성에 박차

할빈공업대학이 일전 인공지능(AI)학원을 설립하고 'AI+선진 기술 리더 클래스'를 발표했다. 올해부터 전국에서 학생을 모집해 AI를 각 학과에 융합시켜 'AI+' 융합 복합형 특색 인재를 더 많이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17일 할빈공업대학 인공지능학원 현판식 현장. (

중국에서 비즈니스 환경이 가장 좋은 도시는?

중국에서 비즈니스 환경이 가장 좋은 도시는?

지난달 22일 상해 보강(寶鋼) 보산(寶山)기지의 '불 꺼진 공장(dark factory)' 내부. (사진/신화통신) 지난 20일 장삼보(張三保) 무한대학 경제관리학원 교수와 장지학(張志學) 북경대학 광화(光華)관리학원 교수 등이 공동 연구한 '중국 성급 지역 비즈니스 환경 연구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