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올해만 어린이집 764곳 폐업 속출

[기타] | 발행시간: 2015.07.10일 08:01
엄마들 "원아 폭력, 메르스까지… 애 보내기 겁나요"

누리과정 예산 파행에 "지원 못받나" 우려도 한몫

20여년 만에 첫 감소세

강원도 원주에서 어린이집 두 곳을 운영하는 김모(48) 원장은 한 군데를 접기로 했다. 작년에는 두 어린이집 모두 정원 34명이 다 찼는데, 올해는 두 곳 모두 절반도 모집이 안 됐다. 김 원장은 "어린이집을 운영한 지 15년 됐지만, 올해 같은 불황은 처음"이라며 "선생님들에겐 미안하지만, 땅 파서 월급 줄 수는 없지 않으냐"고 말했다.

원주뿐 아니라, 올 들어 전국적으로 어린이집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만 0세부터 5세까지 유아들을 돌보는 어린이집은 1995년 9085곳에서 2013년 4만3770개까지, 약 20년간 그 수가 꾸준히 늘어났다. 하지만 지난해 잠시 주춤하더니 올 들어 6개월 만에 764곳이 문을 닫았다. 어린이집 수가 처음으로 크게 줄어든 것이다.

◇폐업 어린이집 속출

어린이집이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무엇일까. 올 초 '어린이집 폭력 사태'와 정부와 시도 간 '누리 과정(만 3~5세 무상 보육)' 예산을 미루는 사태, 메르스 발생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2012년 소득과 상관없이 영아(0~2세)와 만 5세 모든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닐 경우 비용을 지원하는 '무상 보육' 정책을 도입했다. 2012년엔 출생아 수(48만4550명)도 전년 대비 1만3000명이나 늘어났다. 그러자 2012~2013년 사이에 어린이집이 4000개 가까이 급증했다. 그러나 이런 정부 정책 때문에 가정에서 돌봄을 받아야 할 영아들까지 어린이집에 보내는 일이 발생하자, 정부가 이듬해 소득에 상관없이 가정에서 아이를 돌볼 경우에 지급하는 '양육 수당'을 도입했다. 그러면서 어린이집 대신 양육 수당을 택하는 엄마들이 나타났고, 어린이집 가운데에서도 영아를 주로 전담하는 '가정어린이집'들이 경영난을 겪기 시작했다.

◇어린이집 폭력 사태 등 영향

그러는 와중에 지난 1월 인천 연수구 어린이집 교사가 네 살배기 어린이를 심하게 폭행하는 CCTV 장면이 인터넷을 통해 번지면서, '어린이집 폭력'이 큰 사회적 문제가 됐다.

부산에 사는 주부 김모(34)씨는 "온종일 애 보기가 힘들어 두 살짜리 아들을 어린이집에 보냈었는데, 어린이집 교사가 어린아이를 주먹으로 때리는 장면을 보고 너무 소름끼쳐서 어린이집을 그만뒀다"며 "믿을 수 있는 어린이집에 자리가 날 때까지는 내가 집에 데리고 있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옥심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장은 "양육 수당 도입으로 원아 모집이 줄어 힘들어하는 와중에 폭력 사태까지 발생해 어린이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겨났다"며 "그렇지 않아도 경영난에 허덕이던 가정어린이집 원장 중에선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느니 그만두자'는 생각에 폐업한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작년 대비 올해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 어린이집은 50~70개씩 늘어난 반면, 가정어린이집은 700개 이상 감소했다.

작년 연말부터 올 3월까지 정부와 시도교육청, 지자체 간 서로 '누리 과정'(만 3~5세 무상 보육) 예산 부담을 미루는 사태도 어린이집에 영향을 끼쳤다는 얘기도 있다. 장진환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장은 "아이들 입학 시즌인 3월에 시도교육청들이 '어린이집은 우리 관할이 아니라서 누리 과정 예산 편성을 못 하겠다'고 하니까 학부모들이 어린이집에 신뢰를 잃고 유치원을 선택한 경우가 늘어났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문희 연구위원은 "출산율이 다시 떨어지고, 아동 학대 사건이나 메르스 사태가 겹치면서 규모가 작은 가정어린이집 등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무상 보육 도입으로 어린이집들이 과도하게 많아진 상황에서 어린이집 대신 가정에서 돌봄을 받는 영아가 늘어나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김연주 기자 carol@chosun.com] [박진영 기자] [정경화 기자]

조선일보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50%
30대 5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상민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전혀 알지 못했던 친동생의 존재를 알게 돼 충격을 받았다. 이날 16일 방송하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는 모친상 후 오랜만에 외가 친척들을 만나는 이상민의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이상민은 그동안 친척들과 왕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사진=나남뉴스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이 자신도 모르는 아들 소식을 전한 가짜뉴스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지난 15일 다니엘 린데만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짜뉴스 캡처 사진을 올리며 이를 해명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해당 사진에는 다니엘 린데만의 2세 소식이 마치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6월 15일 19시 30분, 연길시 부르하통하 음악분수 ‘물춤쇼’가 열렸다. 음악분수는 연길시 연길대교와 연서교 사이의 부르하통하 강면에 위치해 있으며 총길이는 158메터이고 너비가 12메터로서 최고 100메터의 물기둥을 분사할 수 있으며 또 음악공연과 함께 ‘룡행천하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집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신화넷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접실 야외 관경 플래트홈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이다. /신화넷 6월 16일, 첫 대중개방일을 맞이한, 상해 홍구 북외탄에 위치한 세계응접실(会客厅)을 많은 시민들이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