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건/사고
  • 작게
  • 원본
  • 크게

은행 홈피서 정상 이체했는데 … 금융사기 당했다

[기타] | 발행시간: 2013.08.21일 00:43

신종 '메모리 해킹' 주의보 … 악성코드 심어 목표 PC 장악

공인중개사 유모(38)씨는 지난달 31일 오후 고객에게 계좌 이체를 하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에 '즐겨찾기' 등록된 주거래 은행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했다. 평상시처럼 보안카드 앞뒤 두 자리씩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눌렀다. 그러나 웬일인지 먹통이었다. 다시 접속해 시도해 봤지만 마찬가지였다. 이상한 생각이 들어 계좌 잔액까지 확인했지만 별문제가 없어 다른 은행 계좌를 이용했다.

 하지만 이틀 뒤인 지난 2일 오전 4시30분쯤 297만1000~297만7000원씩 총 7회에 걸쳐 모르는 사람 명의 계좌로 총 2081만원이 빠져나갔다. 유씨는 “시중은행들이 300만원 단위로 모니터링한다는 점을 알고 금액을 1000원 단위로 바꿔가며 이체한 것 같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봉모(44)씨는 지난달 30일 오후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 주거래 은행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갔다. 200만원을 계좌 이체하자 팝업창이 하나 떴다. 보안강화 때문이겠지 싶어 계좌·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카드 앞뒤 두 자리 번호를 입력했다.

 이튿날 오전 1시54분 그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소리에 잠에서 깼다. 새마을금고로 3600만원이 이체됐다는 날벼락 같은 내용이었다. 은행과 경찰에 바로 신고했지만 이미 현금인출기 한도인 600만원씩 6번 분산 이체된 뒤였다.

 신종 전자금융사기인 '메모리 해킹' 피해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메모리 해킹은 가짜 은행 사이트로 유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파밍'과 달리 정상 사이트에 접속한 피해자들의 비밀번호·보안카드 번호 등을 빼내는 것이 특징이다. 피해자의 PC에 해킹을 위한 악성코드를 심어놓고 피해자들이 정상적인 금융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입력하는 개인정보를 노리는 수법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메모리 해킹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은 6월이다. 6월에만 61건, 총 2억4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7월에는 27건으로 줄었으나 피해액은 3억1000만원으로 늘었다. 경찰청은 지난달 3일 메모리 해킹 주의보를 내렸다. 금감원도 19일 '신종 전자금융사기에 주의하라'며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금융감독원 IT감독국 정기영 IT보안팀장은 “영화 다운로드 사이트나 e메일 등을 통해 설치된 악성코드가 은행 사이트를 이용할 때 작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팀장은 “계좌 이체 도중 컴퓨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경우 같은 보안카드 번호를 묻는 점을 악용한 범죄”라며 “이를 막기 위해 시중은행에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할 경우 새로운 번호를 요구하거나 악성코드를 치료할 수 있도록 백신 업데이트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계좌 이체 도중 컴퓨터가 멈추는 수법이 알려지자 정상 이체한 후 돈을 빼내가는 변형 수법도 나타났다. 정상적으로 계좌 이체가 끝나면 보안을 강화한다는 명목으로 다음 이체 시 사용할 보안카드 번호를 묻는 것이다. 유씨와 봉씨는 사건 당일 경찰에 신고하고 은행을 방문해 전자금융거래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 이후 금융감독원에도 민원을 접수했지만 “은행에 자료 요청 중이다” “경찰 조사가 끝나야 보상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을 뿐 수사와 보상절차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보상 받을 길은 열려 있어=그러나 지난 5월 22일 공포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은 해킹사고로 인한 이용자 손해에 대한 금융회사의 1차적 책임을 명확히 하고 피해자에게 손해배상을 명시하고 있다. 보이스 피싱·스미싱 피해자 단체 소송을 진행해온 이준길 변호사는 “메모리 해킹의 경우 피해자가 중대한 과실을 저질렀다고 볼 수 없고 통상적인 계좌 이체 절차를 따랐기 때문에 은행에 보상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피해금액을 보상받은 사례도 있다. 지난 6월 21일 메모리 해킹 수법으로 210만원을 무단 인출당한 양모(31)씨는 은행 측에 피해를 호소했다가 “보상 책임이 없다”는 말만 들었다. 하지만 전자금융거래법을 꼼꼼히 찾아보고 문제를 제기한 끝에 지난 5일 은행으로부터 전액을 보상받았다. 은행들은 “케이스별로 책임 소재가 다르기 때문에 콜센터에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경찰 사이버수사대에 의뢰할 수밖에 없다” 고 밝혔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38%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25%
50대 13%
60대 0%
70대 0%
여성 63%
10대 0%
20대 38%
30대 0%
40대 25%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흑룡강의 인기는 일시적인 인기가 아니라 성, 시 각급 정부가 시장 질서를 규제하고 관광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결과이며 결국은 흑룡강의 빈틈없는 서비스 그리고 이곳의 아름다운 산과 강, 경치가 그림같은 우수한 관광자원 공급에 의해서이다." 6월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마음 많이 다쳤다" 강형욱, 직접 전한 심경 들어보니...

"마음 많이 다쳤다" 강형욱, 직접 전한 심경 들어보니...

동물훈련사 강형욱이 퇴사했던 직원들과 마찰이 있었던 것과 관련해 직접 자신의 SNS에 장문의 심경글을 남겨 화제다. 지난 26일, 강형욱은 자신의 SNS에 긴 글을 남겼다. 그는 "지난 한달여간 많은 일을 겪으며 제 삶을 깊이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며 입을 열었다.

"황재균 이혼했대" 야구 중계 중 뜬금발언, 지연 '사실무근'

"황재균 이혼했대" 야구 중계 중 뜬금발언, 지연 '사실무근'

걸그룹 티아라 출신 '지연'과 프로야구 선수 황재균의 이혼설이 제기됐지만 지연이 '사실무근' 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헤프닝으로 끝났다. 두 사람의 이혼설은 지난 25일 저녁 부산, 경남권 KNN 야구 경기 중계중에 벌어졌다. 이날 중계진은 경기를 중계하던 중 황재균

"우월한 유전자만 쏙쏙" 송일국, 삼둥이 대한·민국·만세 '유퀴즈' 근황 깜짝

"우월한 유전자만 쏙쏙" 송일국, 삼둥이 대한·민국·만세 '유퀴즈' 근황 깜짝

사진=나남뉴스 배우 송일국의 삼둥이 아들 대한, 민국, 만세 군이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며 오랜만에 브라운관 나들이에 나선다. 이날 26일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공식 인스타그램에는 송일국과 삼둥이 모습이 담긴 짧은 영상 한 편이 올라왔다. 제작진은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