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건/사고
  • 작게
  • 원본
  • 크게

'한국 성형 믿었다가…' 중국 여성 통곡

[조글로미디어] | 발행시간: 2015.10.03일 08:19
블랙프라이데이에 '성형한류' 부작용 시위…"직장도 잃었다"

최근 중국 여성들이 강남 유명 성형외과들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성형 한류’를 믿고 성형수술을 받았지만 얼굴에 심각한 부작용이 생겼기 때문이다. 중국인 관광객들은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분쟁 절차를 밟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성형 브로커가 환자를 공급하고, 병원은 ‘찍어내기식’으로 수술을 하는 풍토에 대해 지적이 나온다.

다음은 TV조선 보도 원문.

[앵커]

강남 유명 성형외과 앞에서 중국 여성들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성형 부작용 때문인데요, 요즘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유커 모시느라 정신이 없는데, 다른 한쪽에선 이렇게 한류 성형의 그늘이 드리워져있습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 유명 성형외과 앞에서 통곡 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같은 시각 다른 유명 성형외과 앞에서도 "인생이 망가졌다"는 피켓과 함께 1인 시위가 벌어집니다.

두 사람은 성형 한류를 믿고 수술을 받았다가 부작용이 생긴 중국인 관광객입니다. 37살 웨이웨이씨는 지난 1월 1600만원짜리 양악수술을 받았다가 아래 턱이 함몰됐습니다.

웨이웨이 / 성형 부작용 피해자

"여기를 때려도 전혀 통증을 못 느낍니다. 치아도 마비됐습니다."

35살 칭칭씨는 쌍커풀 수술을 했다가 눈이 짝짝이가 됐습니다.

칭칭 / 성형 부작용 피해자

"이 얼굴을 중국에 보여주면 한국에서 수술 받으려는 사람이 없을 겁니다"

"중국인 관광객들은 성형수술을 받고 본국으로 돌아가야 해서 분쟁절차를 밟기도 어렵습니다. 실제 해당 병원들은 부작용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데, 성형 브로커가 환자를 공급하고 찍어내기식 수술이 판을 치면서 부작용이 나올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 때문에 급증하던 의료관광 수입도 지난해 처음 꺾였습니다.

성형외과의사협회 관계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중국환자와 비례해서 부작용 확률도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중국 현지 언론도 성형 한류의 부작용을 집중 보도하고 있습니다.

TV조선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43%
10대 0%
20대 9%
30대 21%
40대 9%
50대 2%
60대 1%
70대 0%
여성 57%
10대 0%
20대 17%
30대 30%
40대 9%
50대 1%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김희철이 전 여자친구 트와이스 모모를 다시 한번 언급해 네티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최근 방송된 JTBC '아는형님'에서는 배우 최진혁과 이정은, 정은지가 오랜만에 출연해 입담을 뽐냈다. 이날 형님들과 게스트들은 두 명씩 짝을 지어 드라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생활고 호소 시절 잊었나" 김호중, '돈도 없는 XX' 폭언 영상 경악

"생활고 호소 시절 잊었나" 김호중, '돈도 없는 XX' 폭언 영상 경악

사진=나남뉴스 음주운전 뺑소니 사건을 일으켜 세간에 물의를 일으킨 가수 김호중(32)의 욕설 영상이 공개돼 또 한 번 파문이 일고 있다. 지난 22일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3년 전 용역업체 직원을 향해 폭언을 퍼붓는 김호중의 영상 한 편을 게재했다. 2021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 길림성광장무대회서 1등 수상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 길림성광장무대회서 1등 수상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 소식에 의하면 새 중국 창립 75주년을 경축하기 위해 길림성문화관광청이 주최하는 2024 길림성광장무전시공연 및 전 성 무용대회 결승전에서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에서 선발한 무용 〈고악소리축복〉이 대회 1등상을 수상하고 길림시조선족

제3회 6.1아동문학상 시상식 연길서

제3회 6.1아동문학상 시상식 연길서

대상 수상자 허두남(가운데) 6월 24일 오전, 연변작가협회가 주최하고 연변작가협회 아동문학창작위원회가 주관한 제3회 6.1아동문학상 시상식이 6.1아동문학상후원회의 후원으로 연길시 황관혼례청에서 개최되였다. 연변작가협회 부주석, 아동문학창작위원회 주임 김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