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정치 > 조선
  • 작게
  • 원본
  • 크게

김정은 방중 엇갈리는 관측…최룡해, 변수 되나

[온바오] | 발행시간: 2015.11.15일 21:47
[앵커]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위원장의 방중 가능성에 대해 엇갈리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의 외교 전면에 나섰던 최룡해의 신상변동이 북중관계의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이 쏠립니다.

지성림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내년 5월 초 제7차 노동당대회를 열고 '김정은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선포할 계획입니다.

김정은 정권은 체제 정비와 대규모 건설공사, 경제성장 등을 통해 대내적인 '업적'은 부각했지만, 눈에 띄는 대외적 성과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김정은이 내년 당대회를 앞두고 외교 성과를 확보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제7차 당대회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김정은 시대를 선포하기 위해 당대회 이전에 방중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합니다."

하지만 북중관계의 '창구' 역할을 했던 최룡해 노동당 비서가 지방으로 쫓겨나 '혁명화' 처벌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김정은의 방중이 생각보다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2년 전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고위 당국자들을 만났던 최룡해는 올해 9월 초에도 중국의 전승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시 주석을 다시 만났습니다.

중국과의 소통 경험이 있는 최룡해를 구박하는 데 대해 북한이 김정은의 방중에 별로 관심이 없는 게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한 정부 당국자는 "지난달 류윈산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의 방북 이후에도 북중 간에 뚜렷한 움직임이 없다"며 "좀더 지켜봐야하겠지만 북한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같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류 상무위원도 최근 김정은의 내년 초 '방중설' 보도에 대해 사실상 부인하는 등 김정은의 방중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82%
10대 0%
20대 14%
30대 41%
40대 27%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18%
10대 0%
20대 0%
30대 18%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상민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전혀 알지 못했던 친동생의 존재를 알게 돼 충격을 받았다. 이날 16일 방송하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는 모친상 후 오랜만에 외가 친척들을 만나는 이상민의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이상민은 그동안 친척들과 왕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6월 15일 19시 30분, 연길시 부르하통하 음악분수 ‘물춤쇼’가 열렸다. 음악분수는 연길시 연길대교와 연서교 사이의 부르하통하 강면에 위치해 있으며 총길이는 158메터이고 너비가 12메터로서 최고 100메터의 물기둥을 분사할 수 있으며 또 음악공연과 함께 ‘룡행천하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집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신화넷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접실 야외 관경 플래트홈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이다. /신화넷 6월 16일, 첫 대중개방일을 맞이한, 상해 홍구 북외탄에 위치한 세계응접실(会客厅)을 많은 시민들이

중한시범구도시관리국, 방문 봉사로 경영환경 최적화

중한시범구도시관리국, 방문 봉사로 경영환경 최적화

중한시범구의 실외 간판 시설의 품질을 한층 향상시키고 경영 환경을 최적화하며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정결, 깔끔, 안전, 질서’의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중한시범구의 도시관리국은 방문 봉사의 수준 제고로 '기업 군중이 만족하는' 도시 관리 봉사 품질 형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