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건강/의료
  • 작게
  • 원본
  • 크게

심뇌혈관 위험 높아지는 겨울…술·담배 삼가야

[기타] | 발행시간: 2012.11.29일 12:00
[머니투데이 이지현 기자]심뇌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겨울철이 다가오고 있다.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두면 건강하게 겨울을 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고혈압학회 등 8개 학회와 질병관리본부는 29일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을 발표했다.

심뇌혈관질환은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 선행질환을 모두 일컫는다.

200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심장이나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전체 사망자의 25%로 암(28%)에 이어 사망원인 2위로 꼽힌다.

이날 발표된 생활 수칙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을 막기 위해선 술과 담배를 삼가야 한다. 특히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심근경색증,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2배 정도 높은 만큼 금연하는 것이 좋다.

식습관 관리 역시 필요하다.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등 푸른 생선에 들어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은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고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만큼 1주일에 2번 이상 생선을 섭취해야 한다.

주5회 30분 이상 운동하고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빠르게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체조 등 유산소 운동이 도움 된다.

이와 함께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해야 한다. 또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하고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 응급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이지현기자 bluesky@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허근, 6.5환경의 날 생태환경 보호업무 조사 연구 시 강조 습근평 생태문명사상을 충실히 실천해야 아름다운 중국 건설에 룡강의 힘을 기여해야 장안순 참가 6.5 환경의 날 오전, 흑룡강성위 서기, 성인대상무위원회 주임 허근은 할빈 아르진(阿勒锦岛)도 국가 습지공원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1000억 회사가 순식간에" 김호중 소속사 '공중분해' 돌이킬 수 없어

"1000억 회사가 순식간에" 김호중 소속사 '공중분해' 돌이킬 수 없어

사진=나남뉴스 가수 김호중의 음주 뺑소니 혐의로 인해 1000억원 가치로 매겨지던 소속사 생각엔터테인먼트가 공중분해 수순에 들어갔다. 특히 생각엔터테인먼트 이광득 대표는 김호중과 친척 관계로 증거인멸, 범인도피 교사 혐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폐업 수

연변, 2024단오련휴 ‘다크호스’목적지로 선정

연변, 2024단오련휴 ‘다크호스’목적지로 선정

단오련휴가 다가오면서 휴가려행이 다시 화제가 되였다. 최근 동승려행에서 발표한 (이하 )에 따르면 연변과 락양, 위해, 진황도 등이 2024 단오련휴 ‘다크호스’ 목적지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에 따르면 2024년 단오련휴기간 출행시장은 주로 중단거리이며 장강삼

흑룡강성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문화재보호 홈장행사 개최

흑룡강성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문화재보호 홈장행사 개최

6월 5일, 동녕시체육장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며 떠들썩했다.흑룡강성 문화관광청(성문물관리국)이 주최하고 중국공산당 동녕시위, 동녕시정부, 목단강시 문화광전관광국이 주관한 흑룡강성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문화재보호 홈장행사가 이곳에서 개최되였다. 전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