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IT/과학 > 과학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자외선·방사선으로 손상된 DNA 관찰 가능..질병치료 기여"

[기타] | 발행시간: 2013.05.28일 11:30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국내 연구진이 자외선이나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부위를 형광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DNA 손상으로 발생하는 피부암 등 여러 질병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서강대학교 화학과 조규봉 교수 연구팀은 폭이 2nm에 불과한 DNA 사슬 하나하나를 대상으로 손상된 부위를 형광으로 표지하는 방법을 고안했다고 28일 발표했다. 단일 DNA 분자수준에서의 미세한 손상을 잡아내고 손상 DNA 부위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도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DNA 사슬이 절단되는데, 기존의 전기영동 방법 등으로는 절단여부만을 알 수 있고 절단부위는 알기 어려웠다. 전기영동이란 전압이 걸린 다공성 젤에서 DNA 분자를 이동시켜 작을수록 빨리 이동하는 특성을 이용해 DNA 크기 차이를 파악하는 분자생물학 기법을 말한다.

연구팀은 DNA 손상부위에 DNA 사슬을 구성하는 뉴클레오티드를 중합(重合)시켜 끊어진 사슬을 다시 이어주는 DNA 중합효소를 이용했다. 다만 뉴클레오티드에 형광물질 꼬리를 달아 DNA 중합효소가 일하고 있는 손상부위가 빛나도록 한 것이다.

이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의 몸체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유전자는 자외선 손상에 비교적 강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오존층이 없어 자외선 노출이 많았던 초기단계의 바이러스가 자외선 손상에 강한 염기서열만을 채택함으로써 생존에 적합하도록 진화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조 교수는 "자외선이나 방사선 등에 의한 DNA 손상을 단일 분자수준에서 확인해 DNA 손상에 의한 질병의 원인 규명 및 피부암 등의 질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진용 박사과정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영국화학회 발간 학술지(Chemical Communications)의 25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김보경 기자 bkly477@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배우 고준희가 자신을 둘러싼 '버닝썬 여배우' 루머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지난 11일 유튜브 '스튜디오 수제' 에서는 '최초공개 6년만에 꺼낸 버닝썬 진실 고준희, 그동안 편집 됐던 진짜 이야기 공개 - 아침먹고 가2' 라는 제목의 영상이 새롭게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생방송으로 로또 1등 번호 적중" 최현우, 당첨금만 '13억 5천만원' 깜짝

"생방송으로 로또 1등 번호 적중" 최현우, 당첨금만 '13억 5천만원' 깜짝

사진=나남뉴스 마술사 최현우가 로또 1등 번호를 맞춘 뒤 로또 측의 항의를 받고 사과 영상을 올린 사연을 공개한다. 이날 12일 MBC '라디오스타'에서는 마술사 최현우와 배우 최강희, 이상엽, 궤도, 최예나가 출연하여 입담 시간을 가진다. 특히 6년 만에 라스에 다시

"김수미 며느리의 속사정" 서효림父, 딸 혼전임신에 '오열' 상견례도 안해

"김수미 며느리의 속사정" 서효림父, 딸 혼전임신에 '오열' 상견례도 안해

사진=나남뉴스 배우 김수미의 며느리 서효림이 혼전임신으로 인해 상견례도 못 하고 결혼식을 진행했다고 털어놔 이목을 끌었다. 이날 12일 방송하는 TV조선 '아빠하고 나하고'에서는 김수미의 며느리로 유명한 서효림이 최초로 친정 부모님과 함께 출연할 예정이다. 2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4.8보다 더한 강진 언제든 가능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4.8보다 더한 강진 언제든 가능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4.8보다 더한 강진 언제든 가능[연합뉴스] 12일 오전 전북 부안군에서 발생한 규모 4.8 지진은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경고를 되새기게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일본보다 지진 위험이 훨씬 작은 것은 사실이지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