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칼럼 > 칼럼
  • 작게
  • 원본
  • 크게

회사 이름에 숨겨진 비밀/최용민

[기타] | 발행시간: 2012.03.30일 08:44
우선, 낮은 수준의 문제를 풀어보자. 중국의 중앙은행은 어디일까. 우리의 한국은행을 연상하여 중국은행이라고 답하면 틀린 것이다. 중국은행은 흔하게 볼 수 있는 일반상업은행 중 하나이고 중앙은행은 중국인민은행이다. 은행과 관련하여 조금 수준 있는 문제로 화제를 옮겨보자. 중국의 5대 은행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도 진출해 있을 정도로 규모면에서 리더급인 교통은행(交通銀行)이 있는데 영어로 어떻게 표시할까? 기업이 신용장을 받거나 외환송금 문제를 언급할 때 영어로 쓰기 때문에 중국과 무역을 한다면 반드시 알아 둬야 한다. 교통을 염두에 두고 Traffic이나 Transportation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은행의 공식 영어명칭은 Bank of Communications로 일반적으로 짐작하는 것과 전혀 다르다. 교통(交通)이 소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중국내 회사 이름과 관련하여 다른 문제를 짚어보자. 중요한 사실은 이름만 보면 어느 정도 회사의 신용도나 규모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농담 삼아 우리의 인구 수 만큼 중국에는 기업이 있다고 말할 정도로 많은데 특정 회사에 대해 이름만 보고 무역이나 투자 파트너 선정에 필요한 초보적인 신용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 비법은 비즈니스 상대에게서 받은 명함에서 출발한다. 개혁개방 이후에 중국에는 여러 종류의 회사가 존재하게 되는데 모든 기업은 관할 공상행정관리국(工商行政管理局)에 등록하고 우리의 등기권리증에 해당하는 영업집조(营业执照)를 받아야 기업으로서 실질적(법적)인 실체를 갖추게 된다. 그런데 기업 명칭에는 대개 소재한 지역 이름이 맨 앞에 나오고 업종, 업무 특징, 조직 형태 등의 순으로 정해진다. 회사 이름 맨 앞에 북경과 상해와 같은 지역명칭이 아니라 중국(中國), 중화(中華), 국제(國際) 등의 명칭이 들어갔다면 대단한 회사라고 생각해도 크게 잘못된 것이 아니다. 이런 명칭은 국무원(총리실)이나 중앙부처 등 관련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그 규모나 위상이 상당하면서 전국적인 조직을 갖춘 기업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그 회사가 수출입을 하는 기업이라면 각 지방별로 자회사를 갖고 매출액도 상당할 것으로 짐작된다. 현실적으로 이런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데 회사 규모가 별로라고 생각하면 영업집조와 무관하게 사용하는 과대포장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또한 회사 명칭에 경제유한공사(經濟有限公司)나 상무유한공사(商貿有限公司)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 회사는 자본금 규모가 약 10만 위안 이하의 비교적 작은 규모로 추정할 수 있고 유한책임공사(有限責任公司)라는 활자가 보인다면 업태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대개 자본금이 10만 위안에서 50만 위안인 중소 및 중견기업으로 생각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중국 파트너를 만나면 가장 흔한 경우가 유한책임공사이다. 기업의 명칭에 집단공사(集團公司)라는 글자가 있으면 이는 우리의 그룹에 해당되며 대부분 그 밑에 자회사인 분공사(分公司)를 두고 있다. 집단공사는 자본금, 매출액, 종업원 규모 등에서 우리의 그것을 초월하여 재정적인 신용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공고공사(控股公司)라는 글자가 있으면 이는 지주 회사를 의미하며 고분공사(股份公司)로 표기되어 있다면 자본금이 우리 돈으로 수십억 원에 달하는 대형 회사(주식회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국에서 제대로 된 지주회사와 주식회사는 매우 신뢰할 만한 자본력을 갖추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명함에 나타난 회사명은 상대를 파악하는 중요한 참고자료이지만 원칙에 맞게 정확하게 작성되었다는 것을 전제할 경우에만 의미가 있다. 얼마든지 사실과 다르게 명함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제로 비즈니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소재지 공상행정관리국에서 영업집조를 발급받아 자본금, 영업범위, 설립일, 대표자 등을 통해 진짜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한 발 더 나아가 계약을 체결하고 무역결제 대금을 외상으로 받기로 약속했다면 신용조사를 실시하고 무역보험에 가입하는 조치도 적극 검토해야 하다. 최근 중국 비즈니스의 핵심이 리스크 관리라는 점을 감안할 때 더욱 그러하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FTA통상실 실장(choi@kita.net)]

■He is…

’중국은 지금’과 ’중국비즈니스 체크포인트’ 저자,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 북경지부 근무, 중국대외경제역무역대학 연수, 경영학 박사

매일경제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10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6월 21일, '연변대학 박걸교육발전기금 기부 및 2024년도 장학금 전달의식'이 연변대학 종합청사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행사는 연변대학 부교장 장학무의 진행으로 거행된 가운데 커시안그룹 회장 박걸과 부회장 안창호, 생산운영부총재 최명학과 연변대학 당위서기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 중국 림기시 상업 무역 물류 및 문화관광 설명회 축사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 중국 림기시 상업 무역 물류 및 문화관광 설명회 축사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은 6월 24일 오후 서울시 중구 소공동 소재 웨스틴 조선 서울호텔 2층 라일락 앤 튤립홀에서 열린 중국 산동성 림기(临沂)시 상업 무역 물류 및 문화관광 설명회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축사를 하는 권기식 회장. 이날 행사는 림기시 인민정부

"내가 표절했다고?" 아이유, 저작권 의혹 제기 A씨 '역으로 고소' 근황은?

"내가 표절했다고?" 아이유, 저작권 의혹 제기 A씨 '역으로 고소' 근황은?

사진=나남뉴스 지난해 6개의 음악 저작권 침해 고발을 당한 아이유의 최근 근황이 화제가 되고 있다. 앞서 5월 8일 A씨는 아이유의 노래 '분홍신', '좋은날', '삐삐', '부', '가여워', '셀러브리티' 등 6곡의 표절 의혹을 제기하며 서울 강남경찰서에 아이유를 저작권

"사적인 사진 분명히 지웠는데" 서민재, 前남친 협박 폭로 무슨 일?

"사적인 사진 분명히 지웠는데" 서민재, 前남친 협박 폭로 무슨 일?

사진=나남뉴스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박사 통합 과정에 합격해 회복지원가 양성 과정을 밟고 있는 서민재가 전남친에 대한 폭로글을 올렸다. 최근 서민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예전에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다. 존재 자체로 나에게 행복이 돼 준 사람이 있었다"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