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건/사고
  • 작게
  • 원본
  • 크게

필리핀서 189명 탄 여객선 전복… 62명 사망·실종

[CCTV 한국어방송] | 발행시간: 2015.07.03일 11:00

필리핀 레이테 주의 오르모크항에서 세부의 카모테스 섬으로 향하던 필리핀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2일 한 생존자가 오르모크항에 도착해 오열하고 있다./외신

[CCTV.com 한국어방송] 필리핀 중부 해안에서 2일 189명이 탑승한 여객선이 거센 풍랑에 전복돼 최소 36명이 사망하고 26명이 실종됐다.

AP 등 외신은 이날 필리핀 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여객선 ‘킴니르바나’가 필리핀 중부 오르모크 해안에서 세부 카모테스 섬으로 가던 중 뒤집혀 36명이 사망하고 26명이 실종됐다고 보도했다. 이 배에는 승객 173명과 승무원 16명이 타고 있었으며 이중 127명은 급파된 해양경비대에 구조되거나 스스로 항구로 헤엄쳐 나와 목숨을 건졌다.

보도는 구조된 사람들 중 53명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20여명은 구조 직후 귀가했다고 전했다.


필리핀 현지언론 GMA뉴스에 따르면 사고는 이날 낮 12시50분쯤 오르모크항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여객선은 오르모크항을 출발해 남쪽으로 약 40㎞ 떨어진 카모테스섬으로 향하던 중 강한 파도에 휩쓸려 전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와 쌀 수백포대가 실려있었다는 생존자들의 증언이 나오면서 과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오르모크가 위치한 레이테섬과 카모테스섬은 휴양 리조트가 있어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0%
10대 0%
20대 0%
30대 5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50%
10대 0%
20대 0%
30대 5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상민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전혀 알지 못했던 친동생의 존재를 알게 돼 충격을 받았다. 이날 16일 방송하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는 모친상 후 오랜만에 외가 친척들을 만나는 이상민의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이상민은 그동안 친척들과 왕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부르하통하 음악분수‘쇼’국경절 련휴까지

6월 15일 19시 30분, 연길시 부르하통하 음악분수 ‘물춤쇼’가 열렸다. 음악분수는 연길시 연길대교와 연서교 사이의 부르하통하 강면에 위치해 있으며 총길이는 158메터이고 너비가 12메터로서 최고 100메터의 물기둥을 분사할 수 있으며 또 음악공연과 함께 ‘룡행천하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상해: 세계응접실 첫 대중개방일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집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신화넷 6월 16일, 시민들이 상해세계응접실 야외 관경 플래트홈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이다. /신화넷 6월 16일, 첫 대중개방일을 맞이한, 상해 홍구 북외탄에 위치한 세계응접실(会客厅)을 많은 시민들이

중한시범구도시관리국, 방문 봉사로 경영환경 최적화

중한시범구도시관리국, 방문 봉사로 경영환경 최적화

중한시범구의 실외 간판 시설의 품질을 한층 향상시키고 경영 환경을 최적화하며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정결, 깔끔, 안전, 질서’의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중한시범구의 도시관리국은 방문 봉사의 수준 제고로 '기업 군중이 만족하는' 도시 관리 봉사 품질 형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