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노래방 1시간 40만원…외국인 관광객 ‘으악’

[기타] | 발행시간: 2012.02.24일 10:20
바가지 코리아…서울 여행 온 미국인 John,

일본인 나카무라 씨에게 물어보니


"쌀국수 한 그릇 먹고 3만원, 노래방 1시간에 40만원" "외국인 눈속임용 이중 메뉴판까지"

서울로 여행와 물정을 잘 모르는 해외 여행객들에게 제 값의 곱절 이상을 받는 '바가지' 상혼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콜밴을 타고 몇 Km 가는데 요금으로 33만원을 청구하는 콜밴 기사가 있는가 하면, 순대, 떡볶이, 족발을 조금씩 내놓은 음식 한 접시와 막걸리 한 병을 팔고 5만원 돈을 받기도 한다.

이런 비난은 단순히 한 두 명의 외국인 관광객에게 그치지 않고, 국내로 들어오는 해외 여행객들에게 안 좋은 인상을 끼쳐, 결국 대한민국 관광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관계 당국의 빠른 시정 조치가 필요하다.

최근 서울 유명 관광지로 놀러온 해외 여행객들의 대다수는 노상에서 음식을 사먹거나 길거리에 진열돼 있는 상품을 사지 않는다고 답했다.

소위 바가지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에서 한 달 전 쯤 한국에 온 마이클 플롬(30ㆍMichael Flom)씨는 5000원짜리 음식을 1만원 가량 내고 먹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일본에서 온 레이나(29ㆍ여)씨 역시 동대문 밀리오레에서 신발을 사려했는데 처음에는 10만원, 다음에는 12만원 등 계속 가격이 올라 결국 신발을 사지 못했다고 말했다.

10년 째 한국에서 의류를 구매해, 일본에 파는 무역업을 하는 모리(55)씨는 10년 전 쯤에는 소위 바가지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많이 줄어들기도 한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야다이'(やたい)라는 노점에서는 아직도 바가지가 많이 있는 듯해, 모리씨는 노점에서는 절대 제품을 사거나 음식을 사먹지 않는다고 했다. 명동이나 종로 등지의 재래시장 음식점 가판대, 동대문, 남대문 등지의 노점상 등을 말한다.

얼마 전 명동에 머물렀던 일본인 나까무라(36)씨의 경우는 친구와 함께 서울 명동의 한 노래방에서 캔 맥 주 몇 병을 시키고 노래를 불렀는데, 종업원이 와 "같이 동석해 노래를 불러줄 수 있는 여성들이 있다"는 말을 듣고, 동석을 했다.

결국 나까무라씨는 1시간 가량 노래를 부르고, 캔맥주 2개 정도를 마시고 난 뒤 모두 40만원 가량을 내고 나와야 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스위스에서 왔다는 타마라(Tamara Posillipoㆍ24ㆍ여)씨는 쌀국수 한 그릇을 먹고 무려 3만원을 내고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었다고 말했다.

내국인용, 외국인용 이중 메뉴판이 있다는 충격적인 말도 있다.

7년째 일본을 오가며 무역업을 하며 일본인 바이어들과 함께 국내 식당을 찾는다는 강상현(40) 사장.

일반적으로 몇 몇 식당 등에는 외국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일본어, 중국어 등으로 돼 있는 메뉴판이 있는데, 한국인 메뉴판에 써 있는 가격과 외국인 메뉴판에 써 있는 가격이 많게는 3배까지 차이가 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강 사장은 "외국인, 특히 일본인들이 자주 찾는 식당의 경우 가격을 크게 올린 이중 메뉴판이 있어 한국인으로 낯 뜨거울 때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상범ㆍ김영원 기자/tiger@heraldm.com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82%
10대 9%
20대 9%
30대 55%
40대 9%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18%
10대 0%
20대 9%
30대 0%
40대 9%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6월 21일, '연변대학 박걸교육발전기금 기부 및 2024년도 장학금 전달의식'이 연변대학 종합청사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행사는 연변대학 부교장 장학무의 진행으로 거행된 가운데 커시안그룹 회장 박걸과 부회장 안창호, 생산운영부총재 최명학과 연변대학 당위서기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무형문화유산 순방] 시원컬컬 전통감주 대를 이어 전승하네

[무형문화유산 순방] 시원컬컬 전통감주 대를 이어 전승하네

조선족애령감주제작기예 주급 무형문화유산 전승인 안정금 조선족애령감주제작기예 주급 무형문화유산 전승인 안정금 “화룡현 토산자에서 ‘안주정뱅이’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었지요...” 조선족애령감주제작기예 주급 무형문화유산 전승인인 안정금(60세)이 아버지

할빈공업대학 실력 짱! 상아 6호 달에서 '보물' 캐오도록 도왔다!

할빈공업대학 실력 짱! 상아 6호 달에서 '보물' 캐오도록 도왔다!

6월 25일 14시 7분, 상아 6호 귀환기는 달의 뒤면에서 채취한 달 샘플을 가지고 내몽골 사자왕기의 예정된 구역에 안전하게 착륙하였다. 달탐사 프로젝트의 상아 6호가 임무를 원만하게 완수한 것이다. 2004년 중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가 정식으로 비준받고 립안된 후

연길, 50여명 ‘법률지식인’과  혼인조정골간 양성

연길, 50여명 ‘법률지식인’과 혼인조정골간 양성

연길 ‘법률지식인’ 및 결혼조정골간 양성반 개최 현장 최근, 연길시부녀련합회는 연길시사법국과 손잡고 ‘법률지식인(法律明白人)’ 및 결혼조정골간 양성반을 개최했다. 각 향진(가두) 부녀련합회 주석, 부분적인 우수 기층 부녀련합회 간부, 혼인가정 분쟁조정골간과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