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IT/과학 > 과학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쥐 두뇌에 '가짜 기억' 이식 성공

[기타] | 발행시간: 2013.07.26일 04:33

미·일 연구팀 '사이언스' 발표

유전자 조작해 뇌 활동 제어

"인간은 인지 성찰하는 기억

자극에 반응하는 쥐와 달라"

우리 머릿속 기억은 현실 그대로일까, '가짜 기억'을 뇌에 옮겨 심을 수 있을까, 미·일 연구팀이 SF영화에 나오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놨다. 광(光)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쥐의 뇌에 인위적으로 조작한 기억을 심는 실험에 성공한 것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토탈리콜(Total Recall)'은 '가짜 기억(false memory)'에 대한 영화다. 2084년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던 주인공(콜린 퍼렐 분)은 가상 체험을 위한 가짜 기억을 주입하려다 사고를 당한다. 그 뒤 의문의 사건들이 이어지자 주인공은 자신이 현실 속에 있는지 혹은 심어진 기억 속에서 헤매고 있는지 혼란에 빠진다.

 SF영화 속에서나 가능한 일일까. 현실 속에서 비슷한 실험이 재현됐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미국 MIT가 공동 설립한 신경회로유전학센터 연구진은 쥐의 해마(海馬·뇌에서 학습과 기억 등을 담당하는 부분)에 가짜 기억을 심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쉽게 말해 쥐가 실제와는 다른 기억을 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198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탄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進) 교수가 연구를 이끌었고,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논문이 소개됐다.

 연구진은 광(光)유전학을 이용해 가짜 기억을 만들었다. 유전자를 조작해 빛에 반응하는 신경세포를 만들어 내고, 이를 이용해 뇌의 활동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생후 8~14주 된 유전자 조작 쥐와 크기·재질이 다른 상자 여러 개를 준비한 뒤 먼저 쥐를 아무런 장치가 없는 상자A에 넣고 환경을 기억하도록 했다. 다음 이 쥐를 꺼내 바닥에 금속판이 깔린 상자B에 넣고 전기를 흘려 쇼크를 줬다. 이때 쥐의 뇌에 삽입한 광섬유로 레이저를 쏘아 상자A의 기억이 저장된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쥐가 상자B에서 받은 고통을 상자A에서 있었던 일로 기억하게 한 것이다.

 뇌의 기억은 몸의 반응으로 이어졌다. 상자B에서 쥐를 꺼내 안전한 곳에 뒀다 다시 상자A에 넣자, 쥐는 활동이 급격히 둔해졌다. 이곳에서 전기쇼크를 받았다는 가짜 기억으로 공포에 질린 것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실험 결과에 대해 “인간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잘못된 기억을 갖게 되는지 알게 해준다”고 밝혔다. 인간의 기억은 기억저장세포(engram-bearing cell)라고 불리는 뉴런들 속에 저장된다. 어떤 사건을 기억하려 하면 이 세포들로부터 레고블록을 쌓듯 정보의 조각들이 재조립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 외부 환경이 개입하면 그 조합이 뒤틀리고 왜곡된다는 것이 연구진의 주장이다.

 논문의 제1저자 스티브 라미레즈 연구원은 “기억은 우리가 경험한 세상의 복사판(carbon copy)이 아니라 재조합일 뿐”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미국에서 처음 DNA 분석을 통해 무죄가 입증된 사람 250명 가운데 약 4분의 3이 목격자의 '잘못된 기억' 탓에 범인으로 몰린 이들이었다.

 인간의 기억이 불완전하고 조작될 수 있다면 영화 '토탈리콜' 속 상황이 현실이 될 수도 있을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이창준 신경과학연구단장은 “도네가와 교수의 연구가 맞다면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먼 훗날의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입증된 것은 실제 경험한 여러 기억을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경험하지 않은 기억을 이식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라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 그는 “영화가 현실이 되려면 기억을 저장하는 신경세포를 통째로 바꾼 뒤에도 기억이 재생돼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실험을 통해 나타난 쥐의 기억과 인간의 기억은 다르다는 지적도 있다. 이관수(과학사) 동국대 교양교육원 교수는 “인간의 기억은 인지하고 성찰하는 기억이다. 자극에 반응하는 '생화학적 기억'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인간의 기억은 그런 생화학적 기억이 여러 계층으로 겹치고 연결돼 만들어진다고 보는 견해가 많지만 아직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는 없다”고 덧붙였다.

김한별 기자

김한별 기자 idstar@joongang.co.kr

중앙일보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100%
10대 0%
20대 10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가수 이승기가 장인의 주가 조작 논란과 관련해서 공식 입장을 전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승기의 장인은 배우 견미리의 남편이자 배우 이다인의 아버지로 지난 2014년 11월부터 2016년 2월 코스닥 상장사를 운영하면서 견미리와 중국계 자본이 회사 유상증자에 참여한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연길공항, 2023년 최우수 공항으로 선정

연길공항, 2023년 최우수 공항으로 선정

연길조양천국제공항 외부 모습 6월 14일, CAPSE(민항 려객봉사 평정 기구)가 주최하고 항주공항이 협조한 2024 CAPSE 년간 정상회의가 항주에서 개최되였다. 회의에서 제10기 CAPSE 항공봉사 순위를 공개한 가운데 연길조양천국제공항(이하 연길공항)이 2023년도 최우

장백산약선식당 곧 개장

장백산약선식당 곧 개장

6월 17일, 안도현당위 선전부에 따르면 안도현 신합향 길방자촌에 위치한 ‘중국건강 좋은 향촌 대상’—장백산약선식당의 건물 주체공사가 곧 완공되는데 이는 향촌 다기능 재택 약선식당이 곧 운영에 투입됨을 상징한다. 식당+양로, 민생실사 실제에 락착 식당은 ‘애심식

"경찰이 피해자 연락처 안줘서" 김호중, 합의 늦어진 이유 '또 남 탓'

"경찰이 피해자 연락처 안줘서" 김호중, 합의 늦어진 이유 '또 남 탓'

가수 김호중이 최근 음주 뺑소니 혐의 등으로 구속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사고 발생 후 약 35일만에 피해자와 뒤늦게 합의한 이유를 '경찰 때문'이라며 경찰 탓을 해 화제가 되고 있다. 경찰은 이에 "본인이 노력하지 않은 것"이라며 자신들은 규정대로 했다는 입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