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정치 > 한국
  • 작게
  • 원본
  • 크게

한국 하루새 사망자 40명 급증 '비상'

[흑룡강신문] | 발행시간: 2020.12.29일 13:43
  료양병원·료양시설 집단감염에 60대 이상 고령환자 증가 영향

  중수본 "사망 신고 지연으로 어제 사망자 한꺼번에 40명 늘어"

  한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거세지는 가운데 사망자도 급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련합뉴스가 전했다.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 중 숨졌거나 사후 확진 판정을 받은 신규 사망자는 40명으로 집계됐다.

  한국내 코로나19 류행이 시작된 올해 1월 20일 이후 하루 기록으로는 가장 많은 것이다. 직전일 사망자(11명)와 비교하면 무려 29명이나 더 많다.

  다만, 방역당국은 하루새 사망자가 급증한 것이 신고가 지연된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사망 날짜를 보면 어제(28일) 사망한 사람이 13명, 27일 사망한 사람이 11명, 그 이전에 사망한 사람이 16명이다"고 말했다.

  윤 반장은 "사망자 가운데 60대가 2명, 70대가 7명, 80대가 18명, 90대가 13명"이라며 "22일 사망한 환자도 오늘 통계에 집계돼 발표됐는데 련휴 기간에 아마 신고가 지연된 부분도 있는 듯 하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다수는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신규 사망자 40명 가운데 사망 장소가 '료양병원'으로 분류된 사망자는 5명이며, 료양병원에서 확진 판정을 받고 다른 의료기관 등으로 이송된 이후 사망한 사례는 12명이다.

  방대본 관계자는 "신규 확진자 40명 가운데 자택에서 병상 배정을 기다리던 중 사망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3차 대류행'이 본격화한 11월 중순부터 신규 확진자와 더불어 사망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초만 하더라도 사망자는 한 자릿수에 그쳤지만 지난 15일(발표일 기준 13명) 두 자릿수로 올라선 뒤 일별로 12명→22명→11명→14명→15명→24명→24명→17명→17명→17명→20명→15명→11명→40명을 기록하며 계속 증가해 왔다.

  최근 일주일간 사망자만 137명으로, 하루 평균 19.6명이 숨졌다.

  이런 상황에서 사망 위험이 큰 위중증 환자 또한 최근 들어 급증했다.

  인공호흡기와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등의 치료가 필요해 방역당국이 '위중증' 상태로 분류하는 코로나19 환자는 이날 0시 기준으로 330명에 달해 전날(295명)과 비교해 하루 새 35명 늘어났다.

  이처럼 코로나19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의 집단발병이 잇따르면서 '고위험군'인 60대 이상 고령층 환자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달 22일부터 28일까지 최근 1주일간 새로 확진된 60세 이상 지역발생 확진자는 하루 평균 305.3명에 달했다. 이는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일평균 984명)의 31.0%에 해당하는 수치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서울 구로구의 료양병원 및 료양원과 관련해 전날까지 총 170명이 감염됐고, 충북 청주시 참사랑로인료양원에서도 지금까지 108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이달 들어 발생한 코로나19 사망자 가운데 료양병원이나 료양원에서 숨진 사례는 총 55명으로, 이달 전체 사망자 333명 가운데 1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지금의 환자 발생 추이를 볼 때 당분간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철저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정기석 한림대 의대 교수는 "하루 확진자가 1천명씩 나오는 상황에서 60대 이상이 20%, 그중에 위중증이 10%라고만 봐도 하루 평균 20명씩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보통 감염된 이후 일주일 안에 중증으로 악화하고 2∼3주 치료를 받다 숨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간 루적됐던 중환자 숫자를 고려하면 사망자는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올려 사회적 접촉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 역시 "최근 요양병원이나 료양시설, 병원 등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사례가 많았다"면서 "료양병원 등에서는 지병을 앓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많아 감염에 노출되면 더욱 위험하다"고 말했다.

  기 교수는 "무엇보다 료양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로 코로나19가 전파되지 않도록 막는 게 중요하다"며 "시설 내 주기적 검사는 물론 종사자들의 감염관리 또한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6월 21일, '연변대학 박걸교육발전기금 기부 및 2024년도 장학금 전달의식'이 연변대학 종합청사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행사는 연변대학 부교장 장학무의 진행으로 거행된 가운데 커시안그룹 회장 박걸과 부회장 안창호, 생산운영부총재 최명학과 연변대학 당위서기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영길현조선족민속동호회, 성북삼림공원서 여름나들이

영길현조선족민속동호회, 성북삼림공원서 여름나들이

일전, 영길현조선족민속동호회의 35명 회원들은 한우선 회장의 인솔하에 아름다운 구전진 성북삼림공원에서 즐거운 여름나들이를 조직했다. 구전진 성북삼림공원은 2008년에 영길현정부에서 건설하였다. 공원의 계단을 따라 산으로 올라가다보면 울창한 수림속에서 신

안맹재산보험, 불법모금방지 선전활동 전개

안맹재산보험, 불법모금방지 선전활동 전개

최근, 안맹재산보험(安盟财产保险)유한회사 연변중심지사는 연길시 건공가두 연춘사회구역에서 ‘돈주머니를 지키고 행복한 가정을 수호하자’는 주제로 일련의 선전활동을 전개했다. 불법모금이란 단위 또는 개인이 법정절차에 따라 관련 부문의 비준을 거치지 않고 주식

건공가두, ‘연길 록화 미화’ 행동에 땀동이

건공가두, ‘연길 록화 미화’ 행동에 땀동이

'연길 록화 미화’ 행동에 땀동이를 쏟고 있는 사업일군들 최근, 연길시 건공가두당위는 도시의 정밀화 관리를 효률적으로 추진하고 '연길 록화 미화’ 건설성과를 한층 더 공고히 하며 깨끗하고 아름답운 환경을 조성하고저 가두와 사회구역 사업일군들을 조직해 '연길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