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건/사고
  • 작게
  • 원본
  • 크게

IT관점에서 본 "실종 말레이시아 항공기 못 찾는 이유"

[흑룡강신문] | 발행시간: 2014.03.13일 14:55
  “운항 중 비행기는 모하비 사막 한 중간에 서 있는 내 손의 아이폰과 같다”

  (흑룡강신문=하얼빈) 사막 어딘가에 있는 사용자는 아이폰으로 본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그 누구도 사용자 위치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기지국이 없기 때문이다. 지금 많은 비행기에 쓰이는 위성항법장치(GPS) 내비게이션이 가진 함정이다. 실종 나흘째인 말레이시아 항공기도 예외는 아니었다.



<실종 항공기와 같은 기종인 말레이시아항공의 보잉777 이륙 전경 <자료:위키미디어>>

  12일 와이어드는 239명의 승객·승무원을 태우고 이륙 한 시간 만에 사라진 말레이시아 항공기 실종 사건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는 이유를 IT 관점에서 분석했다.

  ◇‘실시간’ 아닌 무용지물 위치전송=가장 큰 문제는 위치 전송 시스템의 한계다. 와이어드는 “현대의 운항관리시스템은 GPS를 쓰지만 항공기에 스스로의 위치를 알려줄 뿐 항공관제센터에 항공기의 위치를 알려주지는 않는다”며 “모하비 사막의 중앙에서 아이폰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GPS가 본인 위치를 알려주지만 사용자가 ‘내 폰을 찾아주세요(Find My Phone)’ 기능을 쓸 수 없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기지국이 없기 때문이다. 기기는 위성을 향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내지 않는다. 패트릭 스마스 조종사는 와이어드에 “비행기가 위성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게 할 수는 있지만 항공산업에 적용하려면 시스템 설치에만 수십억 달러가 들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어드는 해상·바다 속에서 위치 추적이 불가능한 기술의 한계를 지적했다. 콜 요셉 전 해군 파일럿·항공 컨설턴트는 “물 속에서 물건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단순하지만 가장 확실한 진실”이라 말했다.

  일반적 오해 중 하나는 비행기가 항공 관제탑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것이란 생각이다. 하지만 비행기가 육지에서 100~150마일 이상 떨어진 바다 위를 지날 경우, 레이더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레이더 종류에 따라 커버하는 거리가 다르며 날씨 등 요인도 작동한다. 송병흠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레이더 사거리가 달라 커버리지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각 항공사는 위성 기술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말했다.

  이때 대부분 민간 항공기는 고주파 라디오로 통신한다. 승무원이 일정 ‘위치통보점(reporting points)’에서 ‘확인(Check)’ 하는 식이다. 이에 3만5000피트에서 순항하던 비행기의 라디오 통신이 위치통보 지점이 아닌 곳에서 침묵을 지키는 것은 통상적 운항에서 이상한 일이 아니다.

  별도의 위치 전송과 구조 요청 없이 사라진 항공기의 실종 위치 파악이 오리무중일 수 밖에 없는 결정적 이유다. 1만8000시간이 넘는 기장의 비행 이력도 무의미했다.

  ◇심해 추적 불가능...첨단 IT 미작동=조종사 혹은 비행기가 인위적으로 보내는 위치 전송 장치도 한계를 드러냈다. 많은 민간 항공기의 ‘비상 위치 표지(Beacon)’ 장치를 조종사가 작동할 수 있다. 하지만 깊은 수중에서는 발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민간 항공 시스템은 레이더 혹은 바다에서 위치를 추적당하는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군과 정보기관만 쓴다.

  보잉이 자부하는 선진 시스템도 작동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실종 항공기가 기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는 ACARS를 장착했다고 보도했다. 통상 데이터 전송은 실시간이 아닌 비행 중 주기적으로 이뤄진다. 와이어드는 “데이터가 증거를 줄 수는 있겠지만 이미 사건이 일어난 이후에만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ACARS는 과거 에어프랑스기 실종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줬다.

  출처:전자신문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67%
10대 0%
20대 33%
30대 22%
40대 11%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33%
10대 0%
20대 22%
30대 0%
40대 11%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허근, 6.5환경의 날 생태환경 보호업무 조사 연구 시 강조 습근평 생태문명사상을 충실히 실천해야 아름다운 중국 건설에 룡강의 힘을 기여해야 장안순 참가 6.5 환경의 날 오전, 흑룡강성위 서기, 성인대상무위원회 주임 허근은 할빈 아르진(阿勒锦岛)도 국가 습지공원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김호중 보듬어달라" 퇴출반대 청원에 KBS '단호박' 답변한 이유

"김호중 보듬어달라" 퇴출반대 청원에 KBS '단호박' 답변한 이유

KBS가 음주운전 뺑소니 혐의를 받고 구속된 가수 '김호중'의 한시적 방송 출연 규제를 결정한 가운데, 이를 선처해달라는 팬의 청원글에 공식적인 답변을 내놨다. 김호중의 팬은 KBS측에 자신이 아끼고 사랑하는 스타가 언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며 "30대 초반의 나이이

사상 최고치! 할빈철도 단오에 약 180만명의 려객 수송 예상

사상 최고치! 할빈철도 단오에 약 180만명의 려객 수송 예상

2024년 단오절 련휴를 앞두고 려객의 이동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철도 부문은 휴가 수송 배치를 련휴의 앞뒤로 각각 하루씩 연장하여 6월 7일부터 6월 11일까지 총 5일로 정했다. 중국철도 할빈국그룹유한회사(이하 '할빈국그룹회사')에서는 179만 2000명의 려객을 수

허근 량혜령,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 응용 례방

허근 량혜령,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 응용 례방

6월 4일부터 6일까지 최고인민검찰원 당조 서기, 검찰장 응용(应勇)은 흑룡강성에서 조사 연구했다. 이 기간 흑룡강성위 서기 성인대상무위원회 주임 허근과 성위 부서기, 성장 량혜령은 할빈에서 응용 일행을 례방했다. 응용은 흑룡강성의 경제 사회 발전과 검찰업무를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