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IT/과학 > 휴대폰/통신
  • 작게
  • 원본
  • 크게

구글 넥서스7 충전중 폭발

[기타] | 발행시간: 2012.11.12일 08:42
구글의 인기 태블릿 넥서스7이 충전중 폭발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올해 가장 뜨거운 태블릿 중 하나가 됐다.

판드로이드,씨넷은 11일 중국의 한 여성 넥서스7 사용자가 정품 충전기로 플러그를 끼운 채 자리를 비우고 3시간만에 돌아와 보니 단말기가 폭발해 버렸다며 바이두포럼에 올린 사진을 공개했다.

연기와 함께 발생한 단말기 폭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태블릿은 내부까지 완전히 바싹 구워졌다.



▲ 중국의 한 여성 사용자가 넥서스7을 충전하던 도중 폭발했다며 바이두 포럼에 올린 사진. <사진=바이두/씨넷>



▲ 넥서스7이 충전을 시작하고 3시간 만에 이처럼 바싹 구워졌다.<사진=바이두/판드로이드>



▲바이두 포럼에 올라온 넥서스7의 폭발사진.<사진=바이두/판드로이드>

판드로이드는 과거 사용자가 고의로 제품을 폭발시키고 제조업체의 잘못으로 인한 돌리려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 폭발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고 전했다.

씨넷은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과열, 폭발현상은 국가별로 다른 전압공급체계, 하드웨어 설계상의 문제, 과열, 그리고 배터리 문제 등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보도에 따르면 넥서스7 제품을 주문자디자인생산(ODM)방식으로 구글에 공급한 타이완의 제조업체 아수스는 이 사용자에게 넥서스7를 무료교환해주는 것은 물론 조만간 나올 구글글라스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지디넷코리아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10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가수 이승기가 장인의 주가 조작 논란과 관련해서 공식 입장을 전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승기의 장인은 배우 견미리의 남편이자 배우 이다인의 아버지로 지난 2014년 11월부터 2016년 2월 코스닥 상장사를 운영하면서 견미리와 중국계 자본이 회사 유상증자에 참여한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연길공항, 2023년 최우수 공항으로 선정

연길공항, 2023년 최우수 공항으로 선정

연길조양천국제공항 외부 모습 6월 14일, CAPSE(민항 려객봉사 평정 기구)가 주최하고 항주공항이 협조한 2024 CAPSE 년간 정상회의가 항주에서 개최되였다. 회의에서 제10기 CAPSE 항공봉사 순위를 공개한 가운데 연길조양천국제공항(이하 연길공항)이 2023년도 최우

장백산약선식당 곧 개장

장백산약선식당 곧 개장

6월 17일, 안도현당위 선전부에 따르면 안도현 신합향 길방자촌에 위치한 ‘중국건강 좋은 향촌 대상’—장백산약선식당의 건물 주체공사가 곧 완공되는데 이는 향촌 다기능 재택 약선식당이 곧 운영에 투입됨을 상징한다. 식당+양로, 민생실사 실제에 락착 식당은 ‘애심식

"경찰이 피해자 연락처 안줘서" 김호중, 합의 늦어진 이유 '또 남 탓'

"경찰이 피해자 연락처 안줘서" 김호중, 합의 늦어진 이유 '또 남 탓'

가수 김호중이 최근 음주 뺑소니 혐의 등으로 구속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사고 발생 후 약 35일만에 피해자와 뒤늦게 합의한 이유를 '경찰 때문'이라며 경찰 탓을 해 화제가 되고 있다. 경찰은 이에 "본인이 노력하지 않은 것"이라며 자신들은 규정대로 했다는 입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