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연예 > 스타
  • 작게
  • 원본
  • 크게

한혜진, 기성용 논란에 "뭇매 맞을땐 맞고 가야"

[기타] | 발행시간: 2013.07.10일 15:01
[스타뉴스 윤상근 기자]



배우 한혜진 /사진제공=SBS

배우 한혜진이 남편인 축구선수 기성용(스완지 시티)의 SNS 논란에 대해 생각을 밝혔다.

한혜진은 10일 오후 경기도 남양주 시크릿 가든 캠핑장에서 진행된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이하 '힐링캠프') 100회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내 직업도 그렇고 남편(기성용) 직업도 그렇고 모두 대중에 노출이 많이 돼서 뭇매를 맞고 있는 것 같다"고 서두를 뗐다.

한혜지은 "뭇매 맞을 때는 맞고 가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대중의 비난을 받고 있는 이 시간에도 사실 고통스럽지만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 올 것이라고도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기성용은 자신의 SNS를 통해 최강희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조롱하는 글을 올려 대표팀 내 불화설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기성용이 소속사를 통해 공개 사과를 하는 등 곤욕을 치른 바 있다.

한혜진은 "운동선수 입장에서 평정심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아내로서 그런 부분을 많이 도와주고 싶다"며 "어떤 상황이 와도 침착한 자세를 가진다면 지혜롭게 견뎌낼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오는 15일 100회를 맞는 '힐링캠프'는 지난 2011년 첫 방송된 이후 다양한 스타들과 사회 유명 인사들을 섭외해 솔직하면서도 공감 가는 토크로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6%
10대 0%
20대 22%
30대 33%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44%
10대 0%
20대 22%
30대 17%
40대 6%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공동체 확고 수립, 중화 한가족] 여러 민족 인민 석류씨처럼 굳게 뭉쳐 —중화민족공동체의식 갈수록 확고해져 여러 민족은 석류씨처럼 굳게 뭉쳐있다. /인민일보 광서쫭족자치구 계림시 룡승여러민족자치현의 간부와 군중들이 손에 손잡고 민족단결춤을 추고 있다. /계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허근, 홍수 방지 업무 점검 배치

허근, 홍수 방지 업무 점검 배치

허근, 홍수 방지 업무 점검 배치 시 강조 습근평 총서기의 중요한 지시 단호히 관철해야 홍수 방지 재해 감소 구재 업무에 전력해야 장안순 참가 6월 24일 오후, 흑룡강성위 서기, 성인대상무위원회 주임 허근은 치치할시 응급지휘센터에서 할빈시 의란현, 칠대하시 홍

중국 국유기업, 1~5월 매출액 전년 대비 3.1% 증가

중국 국유기업, 1~5월 매출액 전년 대비 3.1% 증가

지난 2월 6일 하북성 웅안신구에 위치한 차이나텔레콤 스마트 도시 산업단지의 건설 현장을 드론으로 내려다봤다. (사진/신화통신) 올해 1~5월 중국 국유기업의 매출액과 리익이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24일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국유기업의

허근 량혜령, 제6회 흑룡강성관광산업발전대회 귀빈대표 회견

허근 량혜령, 제6회 흑룡강성관광산업발전대회 귀빈대표 회견

허근 량혜령, 제6회 흑룡강성관광산업발전대회 귀빈대표 회견 람소민 장안순 참가 6월 24일 오후, 흑룡강성위 서기이며 성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인 허근, 성위 부서기이며 성장인 량혜령은 치치할에서 제6회 흑룡강성관광산업발전대회에 참석한 귀빈대표들을 회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