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문화생활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임신 중 견과류 먹을수록 자녀 알레르기 위험 ↓

[기타] | 발행시간: 2013.12.24일 14:03

임신 중에 견과류를 많이 먹으면 먹을수록 자녀의 알레르기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 다나파버 소아암센터의 린제이 프레이저 박사는 유아 8205명을 분석한 결과, 산모가 주 5회 이상 견과류를 먹은 경우 견과류 알레르기 발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데일리메일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견과류 알레르기는 땅콩 같은 견과류를 먹거나 땅콩 냄새만 맡아도 호흡곤란이나 과민성 쇼크를 일으켜 심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가족 중에 알레르기 전력이 있는 경우 산모는 견과류를 피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왔으나 이번 연구결과는 이 같은 속설을 뒤집는 셈이다.

프레이저 박사는 "우리의 연구결과는 조기에 알레르기 성분에 노출되는 것이 아이의 내성을 길러주면서 자녀의 음식 알레르기 위험을 낮춰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시카고 노스웨스턴대 파인버그 약대 루치 거프타 박사는 "물론 땅콩 등에 민감한 알레르기가 있는 여성은 계속 견과류를 피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땅콩 등의 견과류는 단백질과 엽산을 제공하기 때문에 산모 식단에서 제외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은 미국 의학협회저널 소아과(JAMA Pediatrics) 최신판에 실렸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7%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17%
70대 0%
여성 83%
10대 0%
20대 50%
30대 33%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주펑롄(朱鳳連) 중국 국무원 타이완사무판공실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자유시보’의 관련 보도 및 타이완대륙위원회의 관련 주장은 철두철미한 가짜 뉴스이며 순전히 유언비어라고 지적했다. 주 대변인은 또 민진당 당국은 이 보도를 이용해 중국을 악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몰라보게 달라진 외모" 박봄, 투애니원 재결합 깜짝 놀란 '근황 사진'

"몰라보게 달라진 외모" 박봄, 투애니원 재결합 깜짝 놀란 '근황 사진'

사진=나남뉴스 데뷔 15주년을 맞이한 그룹 2NE1이 최근 YG엔터테인먼트 양현석과 만났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8년 만에 완전체 컴백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박봄도 그동안 제기됐던 건강이상설 등을 딛고 건강해진 모습으로 다시 나타나 이목을 끌고 있다.

안도, ‘의료련합체+의료공동체’련동으로 대중 건강 보장

안도, ‘의료련합체+의료공동체’련동으로 대중 건강 보장

최근년간, 안도현은 시종 인민건강을 중심으로 견지하고 도시와 농촌의 의료자원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상황에 초점을 맞추며 주동적으로 행동하고 난관을 돌파하며 ‘의료연합체+의료공동체’련동 모식을 깊이 추진하여 현과 향, 촌 의료위생봉사 체계를 구축하고 군중들

아리랑예술단과 조선족촌 로인들의 뜻깊은 친목활동

아리랑예술단과 조선족촌 로인들의 뜻깊은 친목활동

신승촌 북춤 매하구시 교서사회구역아리랑예술단과 휘남현 조양진 신승촌로인협회 제4회 친목활동 진행 매하구시 교서사회구역아리랑예술단과 통화시 휘남현 조양진 신승촌로인협회 제4회 련환모임이 6월 27일 신승촌 마을광장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오전 9시경, 37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