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정치 > 조선
  • 작게
  • 원본
  • 크게

김정은 반기문에 친서 보내 방북요청

[조글로미디어] | 발행시간: 2014.09.29일 09:55
북, 15년 만에 유엔총회 연설 … 반기문에게 김정은 친서

"자주권 위협 없어야 핵 문제 해결"

이수용 외무상, 미국에 책임 전가

국제사회에 대화 가능 국가 강조

친서 별 내용 없지만 파격적 시그널

이수용 북한 외무상이 27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오른쪽 사진). 이 외무상은 반 총장과 접견을 마친 뒤 북한 외무상으로선 15년 만에 유엔 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했다. 이 외무상은 “우리의 자주권 위협이 제거된다면 핵 문제는 풀릴 것”이라고 말했다. 왼쪽 사진은 1999년 9월 백남순 당시 북한 외무상(오른쪽)이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을 찾아가 인사하는 모습. [뉴욕=뉴시스, 중앙포토]

북한 이수용 외무상(외교부 장관)의 유엔 외교가 끝났다. 마지막 날인 27일(현지시간)이 가장 바빴다.

 이 외무상은 이날 오후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했다. 북한 외무상이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건 1999년 9월 백남순(2007년 1월 사망) 이후 15년 만이다. 이 외무상은 연설을 하기 전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 친서 전달은 일종의 파격이다. 반 총장은 적절한 기회가 된다면 한국 정부와 협의해 방북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해 왔다. 그런 만큼 허를 찌르는 북한식 기습 외교다. 유엔 소식통은 “친서엔 특별한 게 없다. 아주 의례적인 내용”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하지만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유엔 사무총장에게 처음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해 온 건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15년 전과 비교할 때 북한이 이번에 선보인 대유엔 외교는 공격적이었다.

 가장 큰 차이는 핵 문제에 대한 입장 변화다. 백 외무상은 당시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제네바 합의(94년)에 따라 핵이 동결됐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하지만 이 외무상은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핵 위협, 압살 전략이 필연적으로 가져온 것이 핵 보유 결단”이라며 “그 누구를 위협하거나 공격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그 무엇과 바꿔 먹을 흥정물은 더더욱 아니다”고 핵 보유를 정당화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북한 적대시 정책이 완전히 종식돼 우리의 자주권과 생존권에 대한 위협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면 핵 문제는 풀릴 것”이라고 미국에 책임을 전가했다.

 인권 문제와 관련해 이 외무상은 “미국이 우리의 인권 문제에 대해 걸고 드는 것은 위선”이라며 “인권 문제를 특정한 국가의 제도 전복에 도용하려는 온갖 시도와 행위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를 적대시하지 않는 나라들과 인권 대화와 협력을 해 나갈 용의가 있다”며 국제사회와 대화할 여지를 남겼다.

 동국대 고유환(북한학) 교수는 “과거 북한은 유엔 무대에서 상당히 수동적으로 움직였는데 이번에는 능동적인 모습을 보였다”며 “남북 관계가 경색 국면이고 북·미 관계도 진전을 보이지 않자 국제사회를 통해 정권 인정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15년 전과 별 차이가 없는 부분도 있었다. 비방이다. 이 외무상은 총회 연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연설을 겨냥해 “남조선은 꿈같이 현실 불가능하며 허황된 남의 식의 통일방안을 들고 다니지 말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15년 전 백 외무상도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해 “한쪽이 다른 쪽을 변화시키려 한다면 대결과 충돌밖에 가져올 게 없다”고 경고했었다.

 이번에 선보인 북한의 유엔 외교에 대해 경남대 김근식(정치외교) 교수는 “북한이 정상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외무상을 보내고 김정은 친서를 전달하는 등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남북이나 북·미 관계에 연연하기보다 유엔의 일원으로서 국제무대에 임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앙일보

김정은, 반기문에 “방북해달라”

이수용 北외상 통해 초청 친서 전달… 유엔총장 방문으로 고립 탈피 의도

潘, 수차례 방북 뜻 밝혀 성사 주목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사진)에게 북한 방문을 공식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69차 유엔 총회에 참석한 이수용 북한 외무상이 27일 오후(현지 시간) 반 총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이런 초청 의사가 담긴 김정은의 친서를 반 총장에게 전달했다고 유엔 사정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들이 전했다.

유엔 사무총장실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반 총장이 김정은 제1비서의 친서를 전달받고 이 외무상에게 감사를 표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친서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북한이 유엔 대표부를 통해 반 총장의 방북을 요청한 적은 있지만 김정은의 공식 초청은 처음이다. 반 총장은 그동안 “‘평화롭고 비핵화된 한반도의 건설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방북할 의사가 있다”고 수차례 밝혀온 만큼 김정은의 방북 초청을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유엔 주변에서는 “김정은이 반 총장의 방북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탈피하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많다. 반 총장이 방북하면 유엔 사무총장으로는 사상 최초의 방북이 된다. 또 ‘한국인 유엔 사무총장’인 만큼 남북한 및 한반도 주요 현안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가능성도 크다. 유엔 관계자는 “북한은 ‘반 총장이 한국인’이라는 점에서 역대 어느 총장보다 호감과 호의를 많이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들도 “반 총장은 방북에 강한 의지가 있고 여러 차례 방북을 실질적으로 추진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방북 실현은 반 총장의 마음먹기 나름”이라고 덧붙였다.

동아일보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71%
10대 0%
20대 0%
30대 29%
40대 0%
50대 29%
60대 14%
70대 0%
여성 29%
10대 0%
20대 0%
30대 29%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주펑롄(朱鳳連) 중국 국무원 타이완사무판공실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자유시보’의 관련 보도 및 타이완대륙위원회의 관련 주장은 철두철미한 가짜 뉴스이며 순전히 유언비어라고 지적했다. 주 대변인은 또 민진당 당국은 이 보도를 이용해 중국을 악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몰라보게 달라진 외모" 박봄, 투애니원 재결합 깜짝 놀란 '근황 사진'

"몰라보게 달라진 외모" 박봄, 투애니원 재결합 깜짝 놀란 '근황 사진'

사진=나남뉴스 데뷔 15주년을 맞이한 그룹 2NE1이 최근 YG엔터테인먼트 양현석과 만났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8년 만에 완전체 컴백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박봄도 그동안 제기됐던 건강이상설 등을 딛고 건강해진 모습으로 다시 나타나 이목을 끌고 있다.

안도, ‘의료련합체+의료공동체’련동으로 대중 건강 보장

안도, ‘의료련합체+의료공동체’련동으로 대중 건강 보장

최근년간, 안도현은 시종 인민건강을 중심으로 견지하고 도시와 농촌의 의료자원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상황에 초점을 맞추며 주동적으로 행동하고 난관을 돌파하며 ‘의료연합체+의료공동체’련동 모식을 깊이 추진하여 현과 향, 촌 의료위생봉사 체계를 구축하고 군중들

아리랑예술단과 조선족촌 로인들의 뜻깊은 친목활동

아리랑예술단과 조선족촌 로인들의 뜻깊은 친목활동

신승촌 북춤 매하구시 교서사회구역아리랑예술단과 휘남현 조양진 신승촌로인협회 제4회 친목활동 진행 매하구시 교서사회구역아리랑예술단과 통화시 휘남현 조양진 신승촌로인협회 제4회 련환모임이 6월 27일 신승촌 마을광장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오전 9시경, 37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