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北中 국경경비대 소좌 이상 간부들 韓 라디오에 심취”

[온바오] | 발행시간: 2015.11.12일 09:49
[데일리 엔케이 ㅣ 설송아 기자, 김혜진 인턴기자] “고요한 밤 잠복근무를 서면 오직 모기와 풀벌레 울음소리뿐이었다. 하지만 대북 라디오 방송이 유일한 친구가 돼 줬다. 근무 때가 되면 방송을 숨죽여 듣곤 했다. 젊은 날 대부분의 시간을 군인으로 살아야 한다는 생각에 이럴 바에 자유의 땅 남한으로 가자는 생각도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데일리NK가 최근 인터뷰한 대북방송 청취경험이 있는 탈북자들은 처음에는 적개심이 들기도 했지만 대북방송을 계속 청취할수록 점차 남한사회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이 생겼다고 증언했다. 대북방송 ‘마니아’였던 일부 탈북자들은 북한사회의 부조리를 깨닫게 되면서 탈북을 결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북한에서의 기본적인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삶, 그리고 이에 반해 자유롭고 풍요로운 남한주민들의 삶 등을 비교하면서 한평생 그들이 교육 받았던 ‘지상낙원’ 북한 사회에 대해 돌아보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특히 이들은 대북방송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가 사실인지를 확인하고 싶고, 스스로 답을 찾아보기 시작하면서 점점 빠져들게 된다고 말한다.

한국으로 오기 전 대북방송을 30년간 즐겨 들었다는 최옥순(62·가명) 씨는 “처음 대북방송을 들을 때 일방적 주장을 이야기 하는 것 같아 멀리하기도 했지만, 북한처럼 딱딱하고 선전적인 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자연스러워서 듣게 됐다”고 말했다.

최 씨는 이어 “라디오에서 나오는 정보들이 북한 내에서는 전혀 접할 수 없는 정보들인데다가 특히 김정은 로열패밀리의 이야기와 탈북자들의 소식, 세계 소식 등을 들으면서 북한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게 됐다”면서 “남한 사회가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라는 생각도 들었다”고 덧붙였다.

2011년에 탈북한 군 간부 출신 탈북자 이명기(53·가명) 씨도 “남한 방송은 일반 주민들보다 간부들이 더 많이 듣고 있다”면서 “특히 돈주들은 세계 물가의 시세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듣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이 씨는 특히 “신의주, 만포, 혜산 등 국경을 관할하는 제529부대 같은 경우 소좌(소령) 이상 간부들은 남한 라디오를 거의 다 듣고 있다”면서 “외부사상 유입에 철저히 통제된다고는 하지만 불안한 마음에 라디오 주파수를 돌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간부이든 평범한 주민이든 한국방송을 들으면 생각이 달라진다”면서 “좁은 울타리에 갇혀있던 인식의 폭이 넓어지고 사고방식이 바뀐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북 라디오를 통해 북한 독재체제가 어떻게 주민들의 생각을 세뇌시켰는지를 깨달아 탈북을 감행했다는 증언도 나온다.

2000년부터 전연(前緣)지역에서 소형 라디오를 통해 대북 방송을 들었다던 김서영(가명·55) 씨는 “방송을 10년 넘게 들으면서 그동안 깨닫지 못했던 한반도는 물론 세계의 정세까지 알게 됐다”면서 “지도자가 잘못해서 북한이 못 살게 됐다는 것을 알고 그동안 당하고 살았다는 점을 견딜 수 없어 탈북을 결심했다”고 증언했다.

대북 라디오에 전하는 내용으로 친구들과 토론을 즐겼다는 강성만(가명·52) 씨는 “대북방송을 통해 우리(북한)도 다른 나라들처럼 개혁개방을 해야 잘 살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자유의 한국에서 이런 부분을 느껴보고 싶어 탈북하게 됐다”고 전했다.

탈북자들은 남한 정부에 북한 주민들이 대북방송 시청과 청취를 보다 많이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김 씨는 “한반도 통일은 남북 간 주민들의 생각의 차이를 좁혀내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대북 라디오, TV 방송 등을 통한 북한 주민들이 정보를 많이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씨도 “북한 선전문구에 ‘한편의 시가 천만 군의 적을 무찌른다’는 말이 있다”면서 “역으로 말하면 대북 방송의 일분 일초가 북한 당국에게는 총칼이 되고 2천만 주민에게는 희망이 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 주민들은 대북 방송을 들으면서 현재의 나와 한반도의 시대를 알아가고 통일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런 점에서 대북방송은 북한주민이 필요로 한다는 점, 통일준비에서 필수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말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5%
30대 55%
40대 35%
50대 5%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제5회 아오모리동계아시안게임페막식에서 당시 축업정 장춘시장이 아시아올림픽리사회 곽진정 제1부주석으로부터 대회기를 넘겨받아 동계아시안게임이 본격적인 '장춘사긴'에 진입했다. 제6회 동계아시안게임 시간: 2007년 1월 28일 ~ 2007년 2월 4일 장소: 중국 장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U17 녀자축구 아시안컵: 중국 1-2로 한국에 패해 U17 녀자축구 월드컵 진출 실패

U17 녀자축구 아시안컵: 중국 1-2로 한국에 패해 U17 녀자축구 월드컵 진출 실패

5월 1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2024년 U17 녀자축구 아시안컵 3위결정전에서 중국이 한국에 1-2로 패해 최종 4위를 차지함으로써 올해 열리는 U17 녀자축구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번 경기에서 중국팀은 수비진의 실수로 두 번이나 골을 먹었다.13분

동계아시안게임의 기억 | 동계아시안게임 처음으로 중앙아시아에서 개최

동계아시안게임의 기억 | 동계아시안게임 처음으로 중앙아시아에서 개최

제6회 장춘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중국 빙설군단이 아시아 정상에 복귀했다. 이번에는 2011년으로 되돌아가 제7회 카자흐스탄 동계아시안게임을 돌아보도록 하자. 제7회 동계아시안게임 시간: 2011년 1월 30일-2월 6일 장소: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알마티 참가국가/지역: 2

동계아시안게임의 기억 | 중국 빙상군단 8년 만에 아시아 정상 복귀

동계아시안게임의 기억 | 중국 빙상군단 8년 만에 아시아 정상 복귀

제7회 장춘 동계아시안게임에 45개의 아시아올림픽리사회 전체 회원이 참가함으로써 동계아시안게임 사상 처음으로 대단원을 이루었다. 그동안 5차례 동계아시안게임중 4차례 모두 개최국이 금메달 순위, 메달 순위의 종합 1위에 올랐다. 동계아시안게임이 두번째로 중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