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위안부 리수단 할머니, 향년 95세로 헤이룽장서 별세

[온바오] | 발행시간: 2016.05.19일 21:57

[온바오닷컴 ㅣ 강희주 기자] 헤이룽장성(黑龙江省)에 거주하는 위안부 피해자인 리수단 할머니(사진)가 별세했다.

흑룡강신문 조선문보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17일 오후 3시, 둥닝현(东宁县)의 한 양로원에서 리수단 할머니가 지병으로 향년 9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리수단 할머니는 일제강점기 고향인 평양에서 "하얼빈(哈尔滨)에서 노동자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만주로 왔다가 유괴됐다. 할머니는 러시아와 인접한 국경도시인 둥닝현으로 끌려와 악명이 자자한 현지 위안소에서 일본군의 성욕을 채우는 성노예로 혹사당했다.

일제 패망 후 할머니는 중국에 남아 중국 국적을 얻고 위안부 굴레에서 벗어나 결혼했으나 자식을 얻지 못하고 남편과 사별하는 아픔도 겪었다. 이후 할머니는 현지 양로원 등에서 노후 생활을 보냈다.

할머니의 별세 소식이 알려진 후 박근혜 대통령, 황교안 국무총리,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화환을 보내 조의를 표하고 선양(沈阳) 한국 총영사관 관계자들과 일부 국회의원들이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한편 리수단 할머니의 유해는 생전 유언대로 한복을 입은 채 둥닝현 현지에서 화장 절차를 거친 후 하이린시(海林市) 중한우호공원 내 안치된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83%
10대 0%
20대 17%
30대 50%
40대 17%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17%
10대 0%
20대 0%
30대 17%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1년 가까운 건설 끝에 석약(石药)주식통제그룹유한회사(석약그룹)와 중국농업과학원 할빈수의연구소가 공동 출자한 동물 신형 백신 제조업체인 할빈 은위(恩维)바이오제약유한회사(이하 '은위회사'로 략칭)의 1단계 건설이 완료돼 모든 생산장비가 설치되였고 올해 6월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한 달 동안 연락 없어" 김호중 택시기사, 아찔한 사고 '경악' 근황은?

"한 달 동안 연락 없어" 김호중 택시기사, 아찔한 사고 '경악' 근황은?

사진=나남뉴스 음주운전 뺑소니 혐의로 현재 구속된 가수 김호중(33)이 사고가 발생한 지 35일 만에 피해자와 합의에 이르렀다. 김호중은 지난 13일 뺑소니 사고를 당한 택시 운전자 A씨와 합의를 마쳤다고 전했다. 양측은 사고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BTS 정국 '네버 렛 고', 英 싱글 차트 60위 첫 진입

BTS 정국 '네버 렛 고', 英 싱글 차트 60위 첫 진입

BTS 정국 '네버 렛 고', 英 싱글 차트 60위 첫 진입[연합뉴스] 그룹 방탄소년단(BTS) 정국의 신곡 '네버 렛 고'(Never Let Go)가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톱 100'에 이름을 올렸다. 14일(현지시간) 공개된 최신 차트에 따르면 '네버 렛 고'는 이 차트에 60위로 처음 진

"무너지는 제주도 부동산" 이효리, 제주 떠나 다시 '서울'로 이사 이유는?

"무너지는 제주도 부동산" 이효리, 제주 떠나 다시 '서울'로 이사 이유는?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효리·이상순 부부가 신혼부터 살던 제주도를 떠난다고 밝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15일 방송인 박명수의 유튜브 채널 '할명수'에는 톱스타 동료 이효리가 출연하여 인터뷰 시간을 가졌다. 영상 속 박명수는 "옛날에 상업광고를 안 한다고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