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누가 이들을…" 바닷새 80% 플라스틱 먹이 착각 섭취

[기타] | 발행시간: 2015.09.01일 15:04

현재 바다에 사는 새들이 플라스틱을 먹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해 2050년에는 99%의 새가 플라스틱을 먹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FP=뉴스1

(서울=뉴스1) 최은지 인턴기자 = 현재 바다에 사는 새들의 80%가 플라스틱을 먹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해 2050년에는 대부분의 바닷새가 플라스틱을 먹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 알바트로스, 펭귄, 갈매기 등 대부분의 바다에 사는 새들은 형형색색의 플라스틱 병뚜껑이나 파편을 먹고 있다. 새들이 플라스틱을 먹으면 병에 걸리거나 죽기도 한다.

AFP 통신에 따르면 호주연방과학원(CSIRP) 연구팀은 1962년부터 2012년 사이의 135종의 새들을 연구한 자료들을 토대로 향후 새들이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먹을지 예측했다.

크리스 윌콕스 선임연구과학자는 "바다에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있으며 이것이 바다 생물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벌였고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과거 연구를 토대로 90%의 바다에 사는 새들이 플라스틱을 먹을 것으로 예측했다"면서 "이것은 실로 엄청난 양이며 플라스틱 오염이 도처에 깔려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국립과학원보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1960년대 초반에는 5% 미만의 새들이 플라스틱을 먹었으나 최근 10년간 그 수치가 급증해 2010년에는 80%까지 도달했다.

이 수치는 계속 증가해 2050년에는 99%의 새가 먹을 것이라면서 효과적인 쓰레기 관리가 대참사를 줄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연구는 1950년대 상업 플라스틱이 생산된 이래로 생산 수치는 11년마다 2배로 뛰었으며 이제 전 세계 바다의 1㎢당 58만개의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된다고 관찰했다.

이런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새에 대한 플라스틱의 위험성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는 "플라스틱 오염에 의한 위험성은 널리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위험성이 도처에 깔려있으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가장 위험한 지역은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에 위치한 태즈먼해 남부로 이 지역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이 모이며 다양한 새가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dmswl0601@

뉴스1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0%
10대 0%
20대 0%
30대 5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50%
10대 0%
20대 0%
30대 5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주펑롄(朱鳳連) 중국 국무원 타이완사무판공실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타이완 ‘자유시보’의 관련 보도 및 타이완대륙위원회의 관련 주장은 철두철미한 가짜 뉴스이며 순전히 유언비어라고 지적했다. 주 대변인은 또 민진당 당국은 이 보도를 이용해 중국을 악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천억원 빚더미…소송 대부분 해결돼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천억원 빚더미…소송 대부분 해결돼

마이클 잭슨, 사망 당시 7천억원 빚더미…소송 대부분 해결돼[연합뉴스] 세기의 팝스타 마이클 잭슨(1958∼2009)이 사망 당시 5억달러(약 6천910억원)가 넘는 빚을 지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연예

"선처없다" 팝핀현준, 악성 루머 영상 제작한 유튜버 고소…

"선처없다" 팝핀현준, 악성 루머 영상 제작한 유튜버 고소…

팝핀현준, 악성 루머 영상 제작한 유튜버 고소…"선처 없다"[연합뉴스] 공연예술가 팝핀현준이 악성 루머를 유포한 유튜버를 상대로 대응에 나섰다. 29일 가요계에 따르면 팝핀현준은 악성 루머를 담은 영상을 제작한 유튜버를 서울마포경찰서에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

장춘의 숨겨진 ‘촬영 명소’들

장춘의 숨겨진 ‘촬영 명소’들

여름이 다가오자 많은 촬영애호가와 관람객들이 분분히 핫플레이스로 기념사진 찍으러 달려간다. 하지만 사람이 너무 많아 종종 헛탕을 치기도 한다. 사실 장춘에는 멋지고 예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숨겨진 ‘촬영 명소’들이 많다. 이곳에서는 고풍스러운 건물과 정원을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