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정치 > 국제시사
  • 작게
  • 원본
  • 크게

습근평, 라오스 통룬 총리 접견

[중국조선어방송넷] | 발행시간: 2016.12.02일 12:30
습근평 국가주석이 12월 1일, 라오스 통룬총리를 접견하였다. 접견시에 습근평주석은 “중국은 시종여일하게 라오스를 우호적인 이웃으로, 좋은 벗으로, 훌륭한 동지로, 우호적인 동반자로 여겨왔다”고 하면서 “중국-라오스간의 전면적인 전략협력동반자관계를 끊임없이 추진시키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할것”이라고 표시했다.

습근평주석은 접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과 라오스는 쌍무관계의 량호한 발전추세를 공고히 하고 전면적인 전략협조범위를 더욱 넓혀나가야 한다. 두당, 두나라 지도자는 각종방식의 밀접한 래왕을 통해 전략적인 소통을 유지하고 중대한 문제에 대한 의사를 교환해야 한다. 쌍방은 전략적인 접목을 강화하고 일대일로 건설을 추진시키며 생산투자와 에너지개발, 경제협력개발단지, 기초시설건설 등 분야에서의 합작을 강화해야 한다.

중국은 교육, 문화, 관광, 집법안전 등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강화하여 중국, 라오스간의 전통적인 친선관계를 끊임없이 증진하려 한다. 중국은 또한 라오스측과 공동으로 노력해 중국과 아세안간의 협조를 강화하고 란창강-메콩강 협력프로젝트를 강화하며 유엔사무 등 다각협력기틀내의 협조를 강화하고 상호리해와 지지성원을 계속 강화할것이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가수 이상민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전혀 알지 못했던 친동생의 존재를 알게 돼 충격을 받았다. 이날 16일 방송하는 SBS '미운 우리 새끼'에는 모친상 후 오랜만에 외가 친척들을 만나는 이상민의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이상민은 그동안 친척들과 왕래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속 새카맣게 타들어가" 이찬원, 父 때문에 '자영업자 현실 알아' 눈물

"속 새카맣게 타들어가" 이찬원, 父 때문에 '자영업자 현실 알아' 눈물

사진=나남뉴스 트로트 가수 이찬원이 자영업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깊이 공감하며 아버지의 사연을 털어놔 시선을 집중시켰다. 18일 방송하는 KBS2 '하이엔드 소금쟁이'에서는 돈 걱정에 속이 까맣게 타들어 간다는 한 자영업자의 사연이 공개된다. 이날 방송에 사

"신혼집 월세 1000만원" 손담비♥이규혁, 결혼 3년차 부부 '남다른 고민'

"신혼집 월세 1000만원" 손담비♥이규혁, 결혼 3년차 부부 '남다른 고민'

사진=나남뉴스 가수 손담비가 스피드스케이팅 감독 이규혁과의 이태원 신혼집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최근 유튜브 채널 '소비요정의 도시탐구'에는 가수 손담비가 출연해 용산구에 위치한 신혼집을 공개했다. 영상 속 손담비는 어느덧 결혼 3년 차가 된 이규혁과의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나도 모르는 내 아들이..." 다니엘 린데만, 2세 군대 계획 '가짜뉴스' 분노

사진=나남뉴스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이 자신도 모르는 아들 소식을 전한 가짜뉴스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지난 15일 다니엘 린데만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짜뉴스 캡처 사진을 올리며 이를 해명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해당 사진에는 다니엘 린데만의 2세 소식이 마치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