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음식/맛집
  • 작게
  • 원본
  • 크게

[유쾌한 식탁] 한국식 피시소스 제주어간장 아시나요

[기타] | 발행시간: 2012.10.15일 15:13

문순천(45)

사라져가는 전통 음식 어간장…현대식으로 개발해 유통하는 해어림

“베지근하다게.”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주민 김대윤(65)씨는 어릴 때 먹었던 ‘멜젓(멸치젓갈)을 끓여 만든 장’ 맛을 한마디로 표현한다. ‘맛나다’와 비슷한 뜻의 제주도 말이다. “멜젓을 한참 먹고 나면 살은 없어지고 가시하고 흥건한 물만 남아요.” 김씨의 어머니는 그것을 끓여서 장을 만들었다. 콩 간장과는 또다른 맛이다. 옛날을 회상할 때마다 논두렁처럼 이어지는 그의 눈가 주름이 착착 접힌다. 김씨의 할아버지 세대 이전부터 제주도에서 멜젓은 간장게장보다 실력이 더 출중한 ‘밥도둑’이었다.

멸치젓갈로 만들던

전통 제주어간장

고도리·전갱이로

자체 개발해

“제가 초등학생 때죠. 동네 아저씨들이 떼배(뗏목) 타고 멜 잡으러 갔다 오면 쪼르륵 달려가 몰래 몇 마리 숨기기도 했죠. 반찬이라고는 멜젓과 김치밖에 없었어요.” 귀한 반찬의 국물 한 방울이라도 버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1960~70년대 인공조미료가 들어오면서 ‘어머니의 멜젓 장’은 더이상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다행히 10여년 전부터 ‘제주어간장’이라는 이름을 붙여 그 옛날 ‘멜젓 끓여 만든 장’의 전통을 이어가는 이들이 있다. 문순천(45·사진), 오숙영(45) 부부가 주인공이다.

이들 부부의 일터인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로 달려가자 도로변에 덩그렇게 ‘해어림’이라고 적힌 간판을 만난다. 이들이 10년 전에 만든 2148.7㎡(650평) 크기의 ‘제주어간장’ 공장이다. ‘해어림’은 ‘젓갈과 고기가 있는 숲’, ‘해가 떠서 깃들다’라는 2가지 의미란다.

“원래 수산업에 오래 종사했어요. 양식도 하고 원양어선도 탔죠.” 개량 한복을 곱게 입은 문씨가 말문을 연다. 그는 일에 매달릴수록 어릴 적 먹었던 할머니의 생선 장맛이 떠올랐다. 건강한 먹거리 공부를 하면서 “발효가 세상 식문화에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일부러 동남아시아로 가는 원양어선을 타기도 했어요.” 연구가 목적이었다. 베트남에는 ‘느억맘’(Nuoc Mam), 타이에는 ‘남쁠라’(Nam Pla)라는 생선소스가 있다. 우리네 젓갈처럼 생선을 소금에 절이고, 발효가 끝난 뒤 생기는 국물을 활용한 조미료다. 일명 피시소스라고 불리는 것들이다. 그는 해안 마을에 사는 칠순이 넘은 어르신들을 만나 그들의 옛날 요리법을 채록했다.

문씨가 사무실 옥상으로 안내한다. 옥상에는 수백개의 옹기가 질서정연하게 도열해 있다. 뚜껑을 열자 바다가 선물한 짠맛에 단감을 섞어 넣은 듯한 향이 난다.
해어림의 어간장은 그 옛날 장과는 조금 다르다. 고도리(고등어 새끼), 전갱이가 재료다. “기름이 너무 많으면 어간장이 안 됩니다. 여러 종류의 생선으로 실험하고 정한 거죠. 영양도 좋고 맛도 좋은 것을 찾았죠.” 5~6월에 잡은 고도리는 기름이 적다.

3년 동안 2차 숙성

과정 통해 완성

5년 숙성제품은 더 부드러워

문씨는 이 생선들을 간수를 뺀 천일염에 2년간 절인다. 매끈하고 탱탱한 ‘놈’(생선)들은 까칠까칠한 ‘녀석’(소금)들을 만나 2년간 동거를 끝내고 나면 취객처럼 흐물거린다. 그 결과물을 문씨가 내민다. 플라스틱통 바닥에는 시커먼 찌꺼기들이 쌓여 있고 맨 위에는 둥둥 기름들이 떠 있다. 가운데만 국물이 있다. “이 국물이 재료입니다.” 1차 숙성이다. 이 국물을 잘 거른 뒤에 무말랭이, 다시마, 말린 밀감을 넣어 끓인다. 옹기에 넣어 6개월 이상 2차 숙성을 한다. 한 병의 어간장이 나오기까지 약 3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과 맞먹는다.

어간장은 콩을 발효시켜 만든 일반 간장과 달리 생선을 주재료로 만든 간장인 셈이다. 색은 조림용 간장과 국간장의 중간 정도다. 짠맛이 적고 전혀 비리지 않다. 조림, 찌개, 국 등 다양한 요리에 쓸 수 있어 좋다. 숙성 연도에 따라 맛도 다르다. 5년 숙성된 어간장은 간장 특유의 쏘는 맛이 적어 더 부드럽다. “올해 만들면 3년 뒤 나와요. 자연에 맡기고 기다리는 과정인 거죠. 많이 만들 수 없어요. 옹기 하나하나 세심하게 챙겨야 해서 가족 경영 아니고는 힘들어요.” 뚜껑 관리조차 자칫 소홀하면 다 버리게 된다고 한다. 1년에 50t의 생선으로 약 4만병(900㎖)을 생산한다.

문씨가 어간장 자랑에 나섰다. “미네랄, 불포화지방산, 칼슘이 아주 풍부해요.” 아내 오씨가 거든다. “남해, 서해에도 어간장이 있지만 우리 제주 것이 좋아요. 물살이 센 제주 바다 특성상 내장이 아주 깨끗해요.”

2004년에 부부는 제주어간장에 ‘어로(魚露) 고기이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똑똑 한 방울 한 방울 떨어지는 모양새가 마치 이슬 같았다. 상표등록도 마친 상태다. 전국의 특산물 장인들을 찾아내 ‘명인명촌’이라는 브랜드를 달아주고 관리를 해주는 다리컨설팅의 ‘명인명촌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아이쿱생협연대, 한살림 매장에서도 만날 수 있다.

제주전통음식연구가 김지순씨는 “사라진 전통이죠. 50대도 잘 몰라요. 예전에 멜젓만 끓였고 창호지에 걸렀죠. 주로 김치 담글 때 썼어요”라고 알려준다. 그도 이 전통을 이어간다. 멜젓, 물, 달걀흰자, 양파를 재료로 어간장을 만든다.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50%
60대 0%
70대 0%
여성 5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5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외교부 대변인 모녕은 3일 중국은 한국 경기도 화성전지공장 화재로 안타깝게도 중국측의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데 대해 고도로 주목하고 있으며 계속 한국측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해 한국측이 사고수습 등을 잘 처리하도록 추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례 기자회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재판 일주일 남았는데" 김호중, 호화 변호인단 '전부' 물갈이 무슨 일?

"재판 일주일 남았는데" 김호중, 호화 변호인단 '전부' 물갈이 무슨 일?

사진=나남뉴스 뺑소니 혐의로 충격을 안긴 트로트 가수 김호중의 변호인단이 모두 사임한 배경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당장 오는 1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단독(최민혜 판사)는 김호중과 이광득 대표, 소속사 본부장, 매니저 등에 대한 첫 공판이 열릴 예정이라

"영화계까지 섭렵하나" 임영웅 주연 '단편 영화' 심상치 않은 돌풍 예고

"영화계까지 섭렵하나" 임영웅 주연 '단편 영화' 심상치 않은 돌풍 예고

사진=나남뉴스 트로트계를 평정한 가수 임영웅이 이번에는 연기에 도전한다. 이번 임영웅이 주연으로 출연한 단편 영화 'In October'는 정체불명의 바이러스로 인해 황폐해진 세상에서 살아가는 영웅의 이야기를 담았다. 세상의 끝에서 유일한 친구 '시월이'와 단둘이

안도현 명월진, 농촌 주거환경 정비

안도현 명월진, 농촌 주거환경 정비

일전, 안도현 명월진은 장기적인 효과기제를 구축하고 아름답고 살기 좋은 향촌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환경정비 ‘여름전역’을 개시하여 광범한 군중들에게 량호한 주거환경을 마련했다. 명월진은 농업생산에서 발생하는 화학비료봉투, 농약병 등 유해페기물을 제거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