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문학/도서
  • 작게
  • 원본
  • 크게

김동섭 조선족구술시리즈 《약수동사화》 출간

[길림신문] | 발행시간: 2013.11.09일 11:09
김동섭의 《약수동사화》가 민족출판사에 의해 조선족구술시리즈 도서로 출간되였다.

《약수동사화》는 화룡현 투도진 약수동(1947년 7월전까지는 연길현 수신향 약수동이라 불렀음)의 혁명투쟁사를 쓰고있다.

《약수동사화》는 당의 령도하에 1930년대 중국공산당 약수동지부의 설립, 평강구당위원회 설립, 동북에서 제일 처음인 약수동쏘베트정권의 설립, 나아가 연화중심현당위원회의 설립, 무기탈취투쟁과 유격대의 설립 등 당시의 이야기를 비교적 상세히 적고있으며 당의 령도하에 기세 드높이 진행된 추수투쟁, 춘황투쟁, 토지혁명과 유격대투쟁사를 쓰고있다.

활화산마냥 일어나는 혁명의 불길에 질겁한 투도구일본령사분관의 왜놈들과 경찰서의 왜놈들은 지주, 주구들을 앞세우고 약수동에 대해 1932년 10월 22일, 28일, 11월 4일 련이어 3차의 토벌을 감행하여 15명의 혁명자를 살해하고 39채의 가옥을 불살랐다. 상, 중, 하촌의 300세대였던 약소동은 132세대밖에 남지 않았다.

《약수동사화》는 투도구 일본령사분관의 만행을 낱낱이 폭로하면서 렬사들의 불요불굴의 투쟁정신을 구가하고있다.

《약수동사화》는 또 항일투쟁과 혁명투쟁에서 희생된 68명의 혁명렬사의 명단, 광복을 맞은 약수동마을에서 해방전쟁을 위해 용약참전한 40명의 명단을 적어 보귀한 력사자료로 남겼다. 아울러 18명의 주요 렬사들의 혁명투쟁사를 비교적 상세하게 쓰고있다.

김동섭은 약수동에 집단부락이 세워진 4년후 1941년에 한 혁명가정에서 태여났다. 1945년 광복을 맞이한후 그의 아버지는 당의 호소를 받들고 참군하여 조국해방전쟁에 달려나갔다.

세상에 대해 어섯눈을 뜨기 시작한 다섯살때부터 그는 할아버지의 무릎에 앉아 마을의 항일투쟁사를 들었고 중학교와 사범학교를 다닐 때도 방학이면 마을의 로인들을 찾아 다니면서 투쟁이야기를 들었었다. 그는 이렇게 40여년간 수집한 자료들을 짬짬이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는 우리 민족의 해방을 위해 크나큰 기여를 한 약수동의 빛나는 력사와 청춘도 생명도 서슴없이 바친 70명의 렬사들의 업적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2002년 룡정시교육국에서 정년퇴직하는 해에 약수동소책자를 내부자료로 출판하였고 그때로부터 10년이란 기간에 빠진 자료들을 보충하고 틀린 곳을 수정하여 마침내 《약수동사화》를 펴냈다.


편집/기자: [ 김룡 ] 원고래원: [ 길림신문 ]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최근 동계아시안게임 집행위원회 경기장 및 인프라건설부는 할빈공업대학 국내합작처와 공동으로 할빈공업대학 동계아시안게임 봉사 과학기술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이 행사는 특히 할빈공업대학 건축디자인학원 및 토목학원, 동력전기학원, 항공우주학원 등 관련 학원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2024년 ‘진달래 여름’광장군중활동 즐거운 연길무대 개막

2024년 ‘진달래 여름’광장군중활동 즐거운 연길무대 개막

6월 10일 저녁, 화려한 등불이 휘황찬란한 연길시 청년광장은 수많은 인파로 북적이고 흥성흥성하였다. 멋진 드럼공연과 함께 2024년‘진달래 여름’광장군중활동 ―즐거운 연길무대가 정식으로 막을 올렸다. 가야금 연주 〈영천아리랑〉, 무용 〈물동이춤〉, 3인창 〈은

문화관광 주제 공공뻐스, ‘새 옷’ 단장으로 달린다

문화관광 주제 공공뻐스, ‘새 옷’ 단장으로 달린다

8일, 연변 문화관광 주제 맞춤형 뻐스 12대가 주정무중심에서 일사불란하게 출발해 길거리에 나서며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연변의 인지도를 한층 높이고 관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주문화라지오텔레비죤방송및관광국은 ‘연변문화관광 당신과

할빈, 건축물부터 전통 음료까지... 동서양 문화의 어우러짐

할빈, 건축물부터 전통 음료까지... 동서양 문화의 어우러짐

지난달 2일 할빈의 중앙대가를 찾은 관광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100년 력사를 지닌 비잔티움 양식의 소피아성당 앞 광장에는 서양식 의복을 하고 '마술 지팡이'를 들거나 흰 비둘기를 어깨에 앉힌 관광객들을 볼 수 있다. 혹은 '공주'나 '녀왕'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