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문화/생활 > 문화생활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단단하고 거친 음식일수록 과식하기 쉽다

[조글로미디어] | 발행시간: 2014.04.17일 10:18

칼로리 함유량 낮게 봐

'음식의 결이 거칠거나 단단해 보이는 경우에는 과식하지 않도록 유의하라.' 미국 사우스플로리다 대학의 연구팀이 밝혀낸 음식의 모양과 식욕 간의 관계다.

연구팀은 지원자들을 모아 여러 가지 음식을 제공하고는 얼마나 많이 먹는지 등을 관찰했다. 제공된 음식들은 어떤 것은 거칠고, 어떤 것은 단단했으며, 어떤 것은 부드럽고 말랑말랑했다.

그 결과, 음식이 단단해 보이거나 그 무늬가 거칠어 보이는 경우에는 사람들이 그 식품의 칼로리 함유량을 실제보다 낮게 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로 인해 이런 음식들은 많이 먹게 되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음식의 색깔이나 냄새 등에 따른 식욕의 자극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들이 적잖게 나왔으나 음식의 질감과 식욕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디파얀 비스와스 교수는 "부드러운 질감의 음식에 비해 거친 질감의 음식들을 먹을 때는 더욱 과식에 조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소비자 연구 저널(Journal of Consumer Research)'에 실렸으며 UPI가 15일 보도했다.

코메디닷컴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최근 '음주운전 뺑소니' 로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는 가수 김호중의 일부 팬들이 김호중을 과하게 옹호하며 보는이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30일, 임영웅의 콘서트 영상이 올라온 가운데 김호중의 극성 팬 A씨는 황당한 댓글을 달았다. A씨는 댓글에서 "영웅아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코인으로 전재산 다 날려" 무도 식스맨 류정남, 충격 '노가다' 근황

"코인으로 전재산 다 날려" 무도 식스맨 류정남, 충격 '노가다' 근황

사진=나남뉴스 과거 '무한도전' 식스맨 후보로 이목을 집중시켰던 개그맨 류정남의 충격적인 근황이 전해졌다. 최근 유튜브 채널 '근황올림픽'에서는 무한도전뿐만 아니라 KBS2 '개그콘서트'의 '서울메이트', '깐죽거리 잔혹사'에 출연했던 개그맨 류정남이 출연했다.

"잘나가는 개그맨이었는데 어쩌다" 홍록기, 아파트까지 '경매' 충격 근황

"잘나가는 개그맨이었는데 어쩌다" 홍록기, 아파트까지 '경매' 충격 근황

사진=나남뉴스 개그맨 홍록기가 파산했다는 소식 이후 그의 소유인 오피스텔과 아파트 모두 경매 처분이 내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날 1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인 지지옥션에는 홍록기 소유의 서울 성동구 금호자이1차 아파트가 경매에 부쳐진다는 소식이

"입양된 것 맞아" 김재중, 양부모님 '60억 단독주택' 소식에 친모 재조명

"입양된 것 맞아" 김재중, 양부모님 '60억 단독주택' 소식에 친모 재조명

사진=나남뉴스 가수 김재중이 부모님에게 60억 단독주택을 선물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가슴 아픈 가족사도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 31일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에서는 김재중이 부모님과의 일화를 공유하며 따뜻한 효자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이날 김재중은 "우리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