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경제 > 유통/소비자
  • 작게
  • 원본
  • 크게

천 원짜리 중국산 등산복, '상표 바꿔치기'로 유명 제품 둔갑

[온바오] | 발행시간: 2015.10.09일 00:07
[앵커]

중국에서 저가 의류를 수입한 뒤 유명 상표를 붙여 판매한 일당이 적발됐습니다.

가짜 상표 하나 붙였다고 천 원에 수입한 티셔츠를 수십 배나 비싼 가격에 팔았습니다.

김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모두 중국에서 수입한 등산용 바지입니다.

유명 제품과 모양은 비슷하지만, 꼬리표만 달려 있을 뿐 어디에도 상표는 붙어있지 않았습니다.

54살 김 모 씨 등은 이런 의류를 중국 공장에서 주문 생산해 정식 통관 절차를 거쳐 수입했습니다.

그런 다음 국내에서 유명 상표를 붙이는 방법으로 가짜 상표 의류를 만들었습니다.

상표 하나 붙은 것으로 수입신고 가격이 천 원 남짓인 티셔츠가 수십 배 비싼 몇만 원에 팔리기도 했습니다.

[장기성, 부산 부산진경찰서 지능팀장]

"1달러에서 1달러 30센트 정도로 수입해 중간 유통책으로 넘어갈 때 티셔츠 같은 경우는 만5천 원 정도, 재킷 같은 경우는 4만 원에서 6만 원 정도로 유통됐습니다."

김 씨 등이 판 가짜 상표 의류는 확인된 것만 9만여 벌, 정품 가격으로 2백억 원 상당입니다.

대부분 전통시장이나 이른바 '땡처리' 매장으로 넘겼습니다.

일당이 중국에서 들여온 의류는 수입 기록이 남은 것만 25만 벌이 넘습니다.

이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16만여 벌 역시 국내에 유통된 것으로 경찰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김 씨 등 6명을 구속하고 13명을 불구속 입건했으며 창고에 있던 의류 4천여 점을 압수했습니다.

YTN 김종호[hokim@ytn.co.kr]입니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63%
10대 0%
20대 26%
30대 21%
40대 16%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37%
10대 0%
20대 11%
30대 5%
40대 21%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식품업계도 '영웅시대'…임영웅 모델 업체들 효과 '톡톡'

식품업계도 '영웅시대'…임영웅 모델 업체들 효과 '톡톡'

가수 임영웅을 두고 식품업계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실제 임영웅을 모델로 한 업체들은 주문 수와 매출 증가 등 광고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제주삼다수는 임영웅을 브랜드 모델로 기용한 뒤 2주간 공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가정 배송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연변 집중전시 및 피서관광 시즌 가동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연변 집중전시 및 피서관광 시즌 가동

8일, 2024년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연변 집중전시 및 피서관광 시즌이 연길시 아리랑광장에서 정식으로 가동되였다. 길림성문화관광청 부청장이며 길림성문물국 국장인 장건평, 연변조선족자치주당위 상무위원이며 선전부 부장인 김기덕, 연변조선족자치주정부 부주

연변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행사 인기몰이… 전통문화 통해 시대 활력 발산

연변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 행사 인기몰이… 전통문화 통해 시대 활력 발산

6월 8일은 ‘문화와 자연유산의 날’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무형문화유산을 보존 및 전승하고 력사의 문맥을 계속 이어가며 시대의 편장을 열어가자’를 주제로 연길시 아리랑광장에서 내용이 풍부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참여 범위가 넓은 10여개의 특색 행사를 진행했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