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IT/과학 > 과학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스페이스]네팔 대지진…우주에서도 슬픔이

[기타] | 발행시간: 2015.04.27일 09:02

▲대참사의 현장인 네팔과 히말라야. ISS 우주비행사들이 슬픔과 기도를 전했다. [사진제공=NASA]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네팔과 히말라야 촬영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적막한 히말라야

고통에 싸인 이들

우주에서도 슬픔

우주에서도 슬픔이 느껴진다. 네팔 대지진에 대한 기도가 이어지고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탑승하고 있는 스콧 켈리와 테리 버츠 우주비행사가 26일(현지 시간) 네팔 상공을 지나면서 촬영한 히말라야와 에베레스트산의 모습은 고요하고 적막하기만 하다.



▲2010년 11월9일 촬영한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사진제공=NASA]

스콧 켈리는 "우주에서 보는 히말라야는 적막하기만 하다"며 "많은 사람들이 네팔 대지진으로 고통받고 있어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테리 버츠는 "히말라야산맥과 카트만두, 에베레스트산이 아래로 보인다"며 "네팔 대지진으로 상처받고 피해를 당한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 근처에서 발생한 규모 7을 넘는 대지진으로 26일 사망자가 25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네팔 재해대책본부측은 파악하고 있다. 부상자는 6000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외신들은 네팔에 인접한 인도, 중국, 방글라데시에서도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여진도 계속되고 있다. 규모 4~6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어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물이 무너지고 도로가 끊기면서 전기와 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등 네팔의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아시아경제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50%
10대 0%
20대 33%
30대 17%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50%
10대 0%
20대 17%
30대 17%
40대 17%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1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고인들의 명복을 빔니다.
답글 (0)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최근 동계아시안게임 집행위원회 경기장 및 인프라건설부는 할빈공업대학 국내합작처와 공동으로 할빈공업대학 동계아시안게임 봉사 과학기술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이 행사는 특히 할빈공업대학 건축디자인학원 및 토목학원, 동력전기학원, 항공우주학원 등 관련 학원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그 X놈의 XX들" 고준희, 버닝썬 루머에 울화통 해명 무슨 일?

"그 X놈의 XX들" 고준희, 버닝썬 루머에 울화통 해명 무슨 일?

배우 고준희가 자신을 둘러싼 '버닝썬 여배우' 루머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지난 11일 유튜브 '스튜디오 수제' 에서는 '최초공개 6년만에 꺼낸 버닝썬 진실 고준희, 그동안 편집 됐던 진짜 이야기 공개 - 아침먹고 가2' 라는 제목의 영상이 새롭게

"영상 봤지만 단톡방 멤버 아냐" 용준형, 재차 장문의 사과

"영상 봤지만 단톡방 멤버 아냐" 용준형, 재차 장문의 사과

가수 용준형이 자신과 관련한 '버닝썬 루머'에 대해 재차 해명하며 사과해 화제가 되고 있다. 12일, 용준형은 자신의 SNS에 장문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그때의 저는 분명 어리석었고 잘못했다.잘못된 상황을 바로잡지 못했고 무엇이 옳은 선택인지 모른채 과열된 비

중국—끼르끼즈스딴—우즈베끼스딴 철도, 지역간 련결에 새 통로 개척

중국—끼르끼즈스딴—우즈베끼스딴 철도, 지역간 련결에 새 통로 개척

중국경제의 새 기회를 말하다| 특별렬차가 2016년 2월 27일 우즈베끼스딴 앙그렌—팝 철도 캄치크터널 입구에 정차해있다. 길이가 19.26키로미터인 이 터널은 중앙아시아에서 제일 긴 터널이자 우즈베끼스딴의 1호 공사이며 ‘실크로드’ 경제대 철도망중 끼르끼즈스딴—우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