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IT/과학 > 과학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자율주행 택시, 혼자선 1.29㎞밖에 못 갔다

[기타] | 발행시간: 2017.03.20일 03:02
[美誌, 우버 택시 운행보고서 공개… 도심 3만2000㎞ 운행에 보조 운전자 도움 2만5000번 받아]

"급정거·차량 흔들림으로 승객들 승차감도 기대 이하… 완전 자율주행은 아직 먼 얘기"

목적지만 입력하면 알아서 척척 데려다주고 차량 운행하는 동안 운전대를 잡을 필요 없이 신문을 읽거나 잠을 잘 수도 있는 자동차. 전 세계 정보기술(IT) 기업들과 자동차 회사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 자율주행차가 제시하는 미래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런 자율주행차를 현실에서 만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보고서가 공개됐다. 현재의 자율주행차는 1~2㎞마다 사람이 개입해야 하고 승차감도 엉망이라는 것이다.

미국 IT전문매체 리코드는 18일(현지 시각) 세계 최대 차량공유업체 우버의 자율주행 택시 시범 운행 보고서를 입수해 공개했다. 우버는 자율주행 택시와 자율주행 트럭을 미래 핵심 기술로 꼽고 2015년부터 조(兆) 단위 투자를 해왔다. 지난 2월부터는 하늘을 나는 택시인 '우버 엘리베이트' 개발도 시작했다.

세계 최대 차량 공유업체 우버가 미국 피츠버그에서 시범 운행하고 있는 자율주행 택시. 보조 운전자와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탄 상태로 운행된다. /우버

우버는 기술 개발을 거쳐 지난해 9월부터 미국 피츠버그와 피닉스·템피 등에서 볼보와 포드 차량을 개조한 43대의 자율주행 택시를 시범 운행하고 있다. 승객이 우버 차량을 호출하면 보조 운전자와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탄 자율주행 택시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버의 자율주행 택시들은 3월 첫 주에 모두 2만300마일(약 3만2670㎞)을 운행하면서 무려 2만5000번 이상 보조 운전자나 프로그래머의 도움을 받았다. 평균적으로 따지면 1.29㎞마다 한 번씩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주변 차량 흐름이나 신호등 등 끊임없이 변하는 교통상황에 자율주행 시스템이 완벽하게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리코드는 "1월에는 사람의 개입이 1.45㎞당 1회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버의 자율주행 택시 중 일부는 수백㎞씩 자율주행을 한 경우도 있긴 했다. 하지만 이 중 상당수는 보조 운전자들이 사소한 위험을 무시하고 자율주행을 유지했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경제전문매거진 포천(Fortune)은 "322㎞를 자율주행으로만 달린 우버 자율주행 택시는 샌프란시스코 도심에서 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지나치기도 했다"고 전했다. 승객들이 느끼는 승차감도 기대 이하였다. 우버의 자율주행 담당자는 보고서에 "승객들이 평균 3.2㎞마다 급정거와 차량 흔들림 등으로 인한 불쾌감을 호소했다"며 "자율주행으로 인해 사고가 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호소하는 승객들도 많았다"고 적었다.

외신들은 이 보고서가 자율주행차 시대가 곧 열릴 것이라는 장밋빛 기대감에 경종을 울린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올해 초 인터넷 업체 구글의 자회사 웨이모는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자율주행차를 시범 운행한 결과 1600㎞당 고작 0.2번만 사람의 개입이 필요했다"고 자율주행차에 대한 기대감을 밝혔다. 자동차업체 GM 역시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 결과 86㎞마다 한 번꼴로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캘리포니아 주(州) 정부는 올 연말부터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차가 공공 도로를 달릴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기도 했다.

포천은 이에 대해 "우버의 차량 운행 대부분은 복잡한 피츠버그 도심에서 이뤄진 것으로 (구글·GM이 주로 달린)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와는 조건이 다르다"고 분석했다. 우버가 구글·GM보다 기술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시범 운행이 진행된 도로 환경이 상반된 성적표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제 도로에서 어떤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는 완벽한 시스템을 개발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기술 축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박건형 기자 defying@chosun.com]

[조선닷컴 바로가기]

조선일보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50%
40대 5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28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24일 제2회 중미 해양 사무 협상이 화상 형식으로 개최됐다. 훙량 중국 외교부 국경해양사무사 사장과 마크 램버트 미국 국무부 중국사무 조정관 겸 동아시아국 부차관보가 이번 회의를 공동 주재했다. 량측은 해상 형세 및 해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길림성관광발전대회 장백산보호개발구서 곧 개최

길림성관광발전대회 장백산보호개발구서 곧 개최

습근평 총서기의 관광사업에 관한 중요 지시 정신을 깊이 관철하고 전국관광발전대회 포치 요구를 착실히 락착하며 우리 성을 관광강성으로 가속 건설하기 위해 6월 13일부터 6월 16일까지 장백산보호개발구에서 《길림성관광발전대회》를 개최하게 된다. 5월 31일 성

"졸리-피트 딸, 성인 되자 개명 신청…성 '피트' 빼달라" 왜?

"졸리-피트 딸, 성인 되자 개명 신청…성 '피트' 빼달라" 왜?

"졸리-피트 딸, 성인 되자 개명 신청…성 '피트' 빼달라"[연합뉴스] 할리우드 스타 커플이었다가 이혼한 앤젤리나 졸리(48)와 브래드 피트(60)의 딸 샤일로가 18세 성인이 되자마자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성을 이름에서 지우는 개명 신청을 했다고 미 연예매체 TMZ가 3

"신앙의 힘으로 극복" 서민재, 신학대학원 '회복지원가' 남태현 근황은?

"신앙의 힘으로 극복" 서민재, 신학대학원 '회복지원가' 남태현 근황은?

사진=나남뉴스 '하트시그널3'에 출연했던 방송인 서민재가 신학대학원 학생이 된 근황을 전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화제의 프로그램 채널A '하트시그널'에 출연한 서민재는 이후 그룹 위너 출신 남태현과 마약을 투약해 세간에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당시 서민재는 연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