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이자 앱 | | 모바일버전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작게
  • 원본
  • 크게

중국 원정군의 미얀마전투

[흑룡강신문] | 발행시간: 2015.08.05일 09:33

(흑룡강신문=하얼빈)잊지 말아야 할 역사,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미얀마에서 전투를 벌였던 중국 원정군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화면에 보이는 24개의 굽이는 중국 윈난과 미얀마를 잇는 뎬멘도로(滇缅公路)입니다. 항일전쟁 시작 초기, 이 도로는 중국 최후의 수혈관과 생명선 역할을 했습니다.

  일본은 뎬멘도로를 끊기 위해 미얀마를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1941년 연말, 국민정부는 중국 원정군을 편성하고 10만 명 병력을 미얀마에 투입해 전투를 벌였습니다.

  오늘은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화면의 사진은 한 동맹군 병사가 찍은 것입니다. 현재 이 사진은 미국 국가기록보관소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사진 속의 남자 아이는 당시 13살이었습니다. 몸에 걸친 것은 구식 장비입니다. 애티가 가득한 얼굴에 천진한 웃음을 짓고 있습니다.

  일년 전 이 사진을 보게 된 구이양의 천유리 노인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사진 속의 남자아이가 바로 자신이었던 것입니다.

  천유리 노인은 10살이 되던 해 양친을 잃고 고아가 되었습니다. 일본 침략자에 대한 증오심으로 천유리 노인은 일찍 참군했다고 합니다.

  천유리 노인이 소속된 제5군은 당시 국민혁명군의 정예부대였습니다. 미얀마에 진입한 초기, 제5군은 예리한 칼처럼 퉁구지역의 핵심을 깊이 찔렀습니다. 제5군은 일본군과 12일 동안 낮과 밤에 걸쳐 교전했습니다. 결국 일본군 5천 여명을 섬멸했고 제5군 역시 많은 사상을 냈습니다.

  1998년 퉁구를 찾은 민간 수집가 돤성쿠이 씨가 녹이 슨 원정군의 철갑모를 얻었습니다.

  이 소중한 철갑모는 중국 원정군이 미얀마에서 피 흘리며 용감하게 싸웠던 그때의 치열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맹군이 전투에서 협동성이 모자라고 여러 측이 동시에 지휘해 중심을 잃는 등 문제로 중영 동맹군이 어려움에 처하기 시작하며 전투는 연이어 패배했습니다.

  1942년 5월9일 중국 원정군은 서북 쪽의 예런산을 가로 질러 윈난으로 철수했습니다.

  열대 나무들이 빼곡히 우거진 열대우림 예런산은 화산입니다.매년 우기에 접어들면 모기와 거머리가 우글거립니다. 환경이 열악한 원시 열대우림에서 중국 원정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습니다.

  동맹군 병사들이 어려웠던 이 시기를 비디오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빼곡히 들어선 나무와 숲 탓에 원정군은 하루에 겨우 1, 2킬로미터 밖에 나가지 못했습니다. 고개를 들어도 하늘이 보이지 않았고 구조를 나온 비행기도 그들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때마침 우기여서 산속은 매일 비가 내렸습니다. 옷은 비에 흠뻑 젖었고 신발은 이미 닳아 밑창이 나갔습니다.

  그러나 더욱 두려운 것은 잠에서 깨어나 모기와 거머리에 물려 사망한 전우를 발견할 때입니다. 또 굶어 죽은 전우도 있습니다.

  구이저우성 항일전쟁 노병사랑 봉사단의 도움으로 기자는 올해 89세의 원정군 노병 왕안방 노인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예런산으로 철수하던 때를 왕안방 노인은 평생 잊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10만 명에 가까운 원정군 중 5만 명이 열대우림 속에 뼈를 묻었습니다. 살아서 예런산을 빠져 나온 원정군 중 일부는 인도로 들어가 쑨리런이 거느리던 신38군과 합류했습니다.

  왕안방 노인에 따르면 인도로 들어간 원정군은 영미 동맹군의 지원을 받으며 1년 가까이 가혹한 훈련을 받았습니다.

  훈련 강도는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병사들의 목표는 오로지 하나, 미얀마로 다시 쳐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

  1944년 3월부터 8월까지 인도주재 중국군이 미얀마를 공격했습니다. 중국군은 맹관, 미치나를 잇따라 공격했고 1945년 3월 8일, 일본군은 미얀마에서 철수했습니다. 미얀마 반공격전에서 중국군은 일본군 5만 명을 섬멸했습니다.

  한편 중국, 미얀마, 인도에 투입된 40만 중국 원정군 중 20만 명이 사상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이곳은 윈난성 텅충의 궈상묘지입니다. 텅충을 수복할 때 전사한 중국 원정군 장병들이 영원히 잠들어 있는 곳입니다.

  2011년과 2014년, 이곳에서 두 차례 추모식이 있었습니다. 한편 19구와 24구의 원정군 유해를 미얀마에서 이곳으로 이송해 안치했습니다.

  지난 4월, 원정군 유해발굴봉사단이 미얀마를 찾았습니다. 미치나에 위치한 한 묘지 유적지에서 발굴작업이 한창입니다. 지도에 표시된데 따라 그들은 아직 10여 곳의 묘지 유적지를 찾아내야 합니다.

  유해가 발견되면 DNA 감증을 거친 뒤 국내로 이송해 화장합니다. 그리고 그 유골은 새롭게 건설된 원정군능원에 안치됩니다.

  화면의 배경은 텅충 궈상묘지에 세워진 중국 원정군 리스트벽입니다. 이 벽에는 10만 명 원정군 장병의 이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뎬멘대결전에서 중국 원정군은 전세를 패배에서 승리로 돌려세웠습니다. 일본군은 2년 전 패배로 물러났던 중국 원정군이 어떻게 백전백승하는 용맹한 전사로 탈바꿈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반격전에서 중국 원정군은 우세적 병력으로 정면 공격을 펼쳤을 뿐아니라 특종부대를 편성해 적후까지 들어가 적의 숨통을 조이기도 했습니다.

  이밖에 엄격한 훈련을 통해 수림속 작전능력을 키워 일본군을 미얀마에서 철저하게 몰아냄으로서 중화민족의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중국 원정군은 중국항일전쟁과 세계 반파시즘전쟁의 승리를 위해 민족과 역사 앞에 떳떳한 중대한 기여를 했습니다.

뉴스조회 이용자 (연령)비율 표시 값 회원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통계에 도움이 됩니다.

남성 10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100%
50대 0%
60대 0%
70대 0%
여성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0%
50대 0%
60대 0%
70대 0%

네티즌 의견

첫 의견을 남겨주세요. 0 / 300 자

- 관련 태그 기사

관심 많은 뉴스

관심 필요 뉴스

사진=나남뉴스 어도어 민희진 대표가 하이브를 상대로 낸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이 인용되어 계속해서 대표직을 유지할 전망이다. 이날 30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에서는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낸 하이브의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여 해임 사유
1/3
모이자114

추천 많은 뉴스

댓글 많은 뉴스

1/3
"꼼수 부리다 실형 위기" 김호중, 징역 3년 '가중처벌' 연예계 은퇴할까

"꼼수 부리다 실형 위기" 김호중, 징역 3년 '가중처벌' 연예계 은퇴할까

사진=나남뉴스 인기 정점을 향해 달려가던 트로트 가수 김호중이 결국 실형 위기에 처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음주 뺑소니 혐의로 구속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트로트 가수 김호중이 최소 3년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31일 방송한

"솔직히 엄마라 못 부르겠다" 그리, 김구라 아내 '최초공개' 솔직 고백

"솔직히 엄마라 못 부르겠다" 그리, 김구라 아내 '최초공개' 솔직 고백

사진=나남뉴스 개그맨 김구라의 아들 그리가 아빠와 재혼한 새엄마에 대한 호칭을 솔직하게 고백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30일 방송한 채널A '아빠는 꽃중년'에서는 최근 미국에 다녀온 그리에게 "선물 좀 사 왔니?"라고 묻는 김구라의 모습이 담겼다. 이에 그리는 "영

"범죄자 가게가 맛집이라고?" 백종원, 국밥집 영상 누구길래 '분노 폭발'

"범죄자 가게가 맛집이라고?" 백종원, 국밥집 영상 누구길래 '분노 폭발'

사진=나남뉴스 백종원이 맛집으로 소개한 국밥집이 20년 전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의 가해자 식당으로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1일 유튜브 채널 '나락 보관소'에서는 밀양 성폭행 사건 주동자가 지역 맛집으로 소개되

모이자 소개|모이자 모바일|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
기사송고: news@moyiza.kr
Copyright © Moyiza.kr 2000~2024 All Rights Reserved.
모이자 모바일
광고 차단 기능 끄기
광고 차단 기능을 사용하면 모이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모이자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광고 차단 기능을 꺼 두세요.
광고 차단 해지방법을 참조하시거나 서비스 센터에 글을 남겨주세요.